신군부의 무리한 상무충정작전에 대해 전남도지사 뿐 아니라 군 내부에서 조차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상무충정작전’을 시행하려는 군부의 입장을 보류하도록 요청했던 군 장성도 있었다. 5. 23. 09:00에 육군참모총장실에서는 총장 주재 아래 대책회의가 열렸다. 안건은 ‘전남지역 폭도소탕계획’ 이었다. 당시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박춘식 보급운영처장은 총장 접견실에서 있었던 이 회의에서 진압계획을 수립한 2군사령부 안에 대해 폭도와 시민들을 분리시킨 뒤 공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회의가 끝난 뒤 그는 육군참모총장과의 개별 면담에서 “공격 24시간 전에 홍보 후 협상을 위해 본인이 현역 장군 신분으로 폭도 가세지역으로 들어가 많은 시민들을 모아놓고 군이 무력공격을 감행하면 폭도들이 이길 수 없을 뿐 아니라 광주시가 피바다가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보고만 있을 수 없어 고향사람으로 이곳에 왔다면서 설득작전을 하겠다”고 하자 총장은 “박 장군의 영관장교가 없느냐”고 물었고, “본인이 장군이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나 하나 죽어 유혈사태 없이 평온을 찾는다면 그 이상의 영광이 없겠다”고 대답했다.
- 2007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위원회 [결과보고서] 121쪽

5월 27일 계엄군이 시민군을 어디론가 끌고 가고 있다
박춘식 당시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보급운영처장(준장)은 군이 무력 공격을 감행하면 광주시가 피바다가 된다며 강력하게 작전 보류를 요청했다. 하지만 이희성 계엄사령관은 못마땅한 듯 묵살했다.
군 내부에서만 진압을 반대한 것은 아니었다. 5월 25일 오후 6시 최규하 대통령이 전교사를 방문, 전남도지사의 의견을 물었다. 이 자리에서 전남도지사는 “군의 개입 없이는 불가능하지만 좀 더 여유를 달라”고 말했다.
그러자 계엄사령관은 “군이 필요한 거요? 안 한 거요? 그러면 군은 완전히 손을 떼겠소. 지사로서 책임회피 하는 식으로 그렇게 이야기하면 되겠소”라며 도지사를 압박했다.
신군부는 3개 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으로도 모자라 광주 진압을 위해 추가 파병도 추진했다. 시위가 전남 지역으로 확산되자 마산 주둔 해병 1사단 1개 대대를 목포로 이동시킬 계획이었고, 3군사령부 소속 육군 제33보병사단 101연대에 대해서도 출동 대기 명령을 내렸다. 서울 지역 대학가에 진주해 있던 제5공수여단의 광주 투입도 고려됐다. 지휘관들은 출동 준비를 위해 정신교육을 실시했다.
27일 0시01분 광주 재 진입 상무충정작전은 개시됐고, 대한민국 최정예 3공수 특공조 80명, 11공수 특공조 37명, 7공수여단 특공조 262명이 투입됐다. 이들은 시민항쟁지도부와 시민군이 주둔해 있던 전남도청과 광주공원, 공설운동장, 종합병원, 전남대 의대, 관광호텔, 전일빌딩을 ‘탈환’했다. 이 작전으로 시민군 17명이 사망하고, 수 십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작전 중 계엄군 3명도 숨졌다.
그날 광주시민 그 누구도, 계엄군의 광주 진입을 원하지 않았다. 그 때 광주에는 폭도, 불량배, 흉악범은 없었다. 시민수습위원회를 중심으로 무기회수가 이뤄졌고, 조직적인 치안유지가 진행됐다. 진정, 폭도와 흉악범은 광주가 아닌, 전두환 세력이었다. 대법원은 [상무충정작전]에 대해 정권 찬탈을 위한 불법적인 무력사용, 내란으로 판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