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기념재단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유튜브
  • 518tv
  • 통합검색

5·18언론상

HOME > 주요사업 > 5·18언론상
5·18언론상은 신군부의 언론통제 상황에서도 5·18민주화운동의 진실을 보도하기 위해 헌신한 언론인들의 노력을 기념하고 언론정신의 맥을 잇고자 5·18기념재단과 광주전남기자협회가 함께 진행하고 있다.

5·18언론상 수상 현황

제9회(2019) 2019. 8. 20. 화. 14:00 /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 보도자료 진행사진
취재보도 JTBC 봉지욱, 박창규, 유선의 기자,
라정주, 허진, 황윤욱, 박민혁 PD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5·18 진상규명 3부작>,
<뉴스룸 5·18 진상규명 연속보도>
취재보도 KBS광주 보도국 이성각, 유철웅, 곽선정, 박지성, 김강용, 김선오, 정현덕 <헬기사격 증인찾기 프로젝트>,
<다시 보는 검시기록-학살보고서>
취재보도 경향신문 강현석 <5·18때 공군 수송기 시체 운송 의혹> 연속보도,
<전두환의 ‘80년 5월’> 연속보도
뉴미디어 kbc 광주방송 김태관, 정의진, 전준상 특별기획 <오월의 거짓말> 15편
뉴미디어 김동규(페이스북 페이지
‘광주의 오월을 기억해주세요’ 운영자)
<드디어 밝혀지는 5·18 당시 실종자들의 진실>
카드뉴스
공로상 광주 5월 민주항쟁의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전면개정판(2017.5.15.)
황석영, 이재의,
전용호 기록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엮음
제8회(2018) 2018.8.22.(수) 16:00 /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 보도자료 진행사진
취재보도 한겨레신문 정대하, 안관옥, 남은주 ‘5·18 계엄군 여성 성폭행 38년만의 첫 보도’
관련기사
취재보도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장경주, 이큰별 ‘잔혹한 충성’ 2부작
- 1부< 비둘기와 물빼기>,
- 2부 <학살을 조작하라>
사진 광주일보 최현배 웃고 있는 박준병과 소준열
뉴미디어 쥐픽쳐스 국범근 이것만 보면 5·18 민주화운동 한방에 이해됨
공로상 나경택(전 전남매일신문 사진기자)
제7회(2017) 2017.08.21(월) 17:00 /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 보도자료 진행사진
취재보도 광주MBC 김인정, 김철원, 강성우, 최선영 5·18 발포명령자 추적
취재보도 뉴시스 배동민, 신대희 37년만에 증명된 계엄군의 5·18헬기 사격
취재보도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장경주 화려한 휴가 그리고 각하의 회고록
뉴미디어 전남대학교병원   5·18 10일간의 야전병원' 동영상
공로상 이창성(전 중앙일보 사진기자)  
제6회(2016) 2016.08.24 / 5·18교육관 대강당 보도자료
취재보도 한겨레신문 정대하 전두환 광주발포 결정 회의 참석 등 5공전사 입수 단독보도
취재보도 광주 MBC 김철원, 김영범 그들의 광주, 우리의 광주
공로상 조광동(전 시카고 한국일보 편집국장)  
제5회(2015) 2015.10.22(목) 11:00 /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 보도자료 / 진행사진
취재보도 광주일보 이종행,김형호,박기웅,백희준 광주인권상 수상자, 오월정신을 말하다
취재보도 전남일보 이건상, 김양배, 박재성, 김지민, 노병하, 홍성장 5·18 집중보도
공로상 전 동아일보 기자 故 김영택 10일간의 취재수첩
제4회(2014) 2014.08.30(토) 17:00 / 5·18기념문화센터 민주홀
/ 공동주최: 한국기자협회,
광주전남기자협회, 5․18기념재단, 주관 : 광주전남기자협회
보도자료 / 진행사진
취재보도 광주 MBC 정용욱, 박재욱 아물지 않는 상처, 트라우마
취재보도 광주매일신문 노병하, 임채만, 김혜수 5·18 34주년, 이제 광주가 변하자
제3회(2013) 2013.06.28(금) / 김대중컨벤션센터 /
주최: 광주전남기자협회, 후원: 5·18기념재단, 광주전남비전21
보도자료 / 진행사진
취재보도 광주일보 이종행, 김지을, 김미은, 임동욱, 채희종, 박성천, 최권일, 박진표, 이보람, 김경인, 박정렬, 양세열 보훈처, 님을 위한 행진곡 퇴출시키나
5·18 광주민주화운동 33주년 기획물
(5·18 역사왜곡 진실추적 기획보도 시리즈)
취재보도 KBS 광주총국 이성각, 곽선정, 박지성, 홍성희, 이슬기, 박석수, 이승준, 선상원 5·18 역사왜곡 진실추적 기획보도 시리즈
취재보도 CBS 광주방송 조기선 GIS로 그리는 5·18 사망지도
논평, 비평 중앙일보 노재현(논설위원) 님을 위한 행진곡이 어때서?
제2회(2010)
취재보도 광주일보 채희종, 최경호, 오광록, 이종행, 양수현, 나명주, 마성만 5·18특별시리즈 - 5월을 넘어, 광주를 넘어
제1회(2007)
취재보도 무등일보 김종석, 윤환식, 유형근 5·18 당시 집단매장 추정연골 무연고 처리 의혹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5·18언론상 시상식 사진

언론을 제4의 권력이라고 한다. 현대 사회에서 언론이 갖고 있는 큰 영향력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언론이 지닌 힘 때문에 때때로 권력과 자본은 통치수단으로서 언론을 이용하기도 했다.

1980년 5월 신군부는 민주화를 갈망하는 국민들의 염원을 무거운 군홧발로 짓밟았다. 광주 시민들이 무참히 학살당하는 만행이 벌어지는 동안에도 우리 국민들은 광주의 소식을 접할 수 없었다. 신군부가 정권찬탈 음모를 숨기고 그들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언론보도의 검열을 강화하고 기사를 삭제하는 등 언론을 철저하게 통제했기 때문이다.

박정희 정권의 몰락과 함께 등장한 신군부는 유신체제 아래에서 억눌렸던 민주화의 주장이 분출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언론검열을 실시했다. 언론을 통제하면서 궁극적으로 군정을 연장하려는 음모를 획책했던 것이다.

신군부는 단순한 언론통제에 그치지 않고 조직적으로 언론의 구조개편을 강행했다. 언론인 통제, 언론매체 통제, 언론내용의 통제를 실시한 것이다. 이는 마치 제2차 세계대전 무렵 독일 국민들이 나치 정권을 호의적으로 받아들이게 만든 나치당의 선전장관이었던 요제프 괴벨스(Paul Joseph Goebbels)의 언론통제수법과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신군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많은 언론인들은 유신시대 언론의 모습을 반성하고 언론 본연의 자세로 되돌아가려는 노력들을 전개했다. 신군부의 언론 검열 및 보도지침 등에 항의하여 제작거부를 단행하는가 하면, 광주의 진실을 알리고자 총칼에 맞서 펜으로 맞서기도 했다. 1980년 당시 언론자유 수호를 위해 신군부와 언론자본에 맞서다 강제해직 당한 언론인이 무려 900여 명에 달한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1980년 5월, 신군부는 그렇게 ‘광주학살’과 동시에 ‘언론학살’을 자행했다.

신군부의 언론탄압은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으로 이어졌다. 불의에 항거한 기자들의 노력은 진실과 함께 정권에 의해 철저하게 감춰졌다. 진실을 보도하는 것이 기자들의 사명이자 시대가 요구하는 기자들의 역할이다.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