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아카데미와 광주아시아인권학교의 통합운영을 통해 국내외 시민사회 활동가의
체계적인 오월인재 육성과 국내외 연대사업의 인적 기반 활용합니다.
| 일시 | 주제 | 참가 | 비고 |
|---|---|---|---|
| 2022.08. | Incomplete Movement: Understanding South Korean Democracy and Civil Society Activities(미완의 운동: 한국 민주주의 및 시민사회 활동의 이해) | 12명 | 아카데미 참가자 12명, 강사진 6명(통역, 안내해설가 포함), 스태프 5명네팔(1), 베트남(1), 인도네시아(2), 캄보디아(1), 필리핀(2), 아프가니스탄(1), 탄자니아(1), 몽골(1), 동티모르(2) |
| 2021.11. | How Did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Contribute to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Ⅱ(5·18은 한국의 민주주의에 어떻게 기여하였는가? Ⅱ) | 오픈형식 | - 나레이션 형식 강의 영상- 대중 오픈형 강의- 재단 유튜브 게재 |
| 2020.11. | How Did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Contribute to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Ⅰ(5·18은 한국의 민주주의에 어떻게 기여하였는가? Ⅰ) | 11명 | - 아카데미 참가자 11명, 강사진 10명- 네팔(1), 파키스탄(2), 필리핀(2), 방글라데시(2), 캄보디아(1), 미국(1), 인도네시아(2) |
| 2019.08.23.~09.03. | Politics and Economy of Refugees(난민과 정치, 경제의 상관관계) | 14명 | - 아카데미 참가자 14명, 강사진 13명(통역, 안내 해설가 포함), 스태프 및 자원활동가 13명- 브라질(1), 호주(1), 필리핀(1), 네팔(2), 인도네시아(3), 남수단(1), 인도(1), 보스니아&헤르체고비아(1), 방글라데시(1), 스리랑카(1), 호주(1) |
| 2018.09.02.~09.17. | Time to Implement(지금은 실천할 때) | 21명 | - 아카데미 참가자 21명, GNMP 참가자 12명, 강사진 12명, 스태프 및 자원활동가 15명- 방글라데시(3), 인도네시아(3), 네팔(2), 스리랑카(2), 말레이시아(2), 요르단(1), 부르키나파소(1), 캄보디아(1), 라오스(1), 콩고(1), 코트디부아르(1), 파키스탄(1), 보스니아(1), 태국(1) |
| 2017.09.07.~09.21. | Resist! From Gwangju 1980to Candlelight Viril 2017(저항하라! 1980 광주에서 2017 촛불로) | 21명 | - 아카데미 참가자 21명, 스태프 및 자원활동가13명- 캄보디아(1), 방글라데시(2), 스리랑카(2), 미얀마(2), 태국(1), 인도네시아(1), 인도(1), 네팔(3), 필리핀(2), 말레이시아(1), 파키스탄(1), 라오스(1), 탄자니아(1), 브룬디(1), 케냐(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