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국제연구원

HOME > 주요사업 > 5‧18국제연구원
5·18국제연구원
세계 시민과 5·18 연구자를 위한 5·18국제연구원
5·18국제연구원은 5·18 연구 기반 구축 및 5·18 연구의 국제적 확산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5·18국제연구원은 5·18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하고 5·18 연구 지평을 확대해 나가며 5·18 연구를 위한 국제적인 플랫폼과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사업 방향

  • 5·18 항쟁에 대한 담론과 연구성과를 세계 시민들과 공유
  • 5·18 정신의 확산을 위한 자유·민주·인권·평화 연구플랫폼 및 연구자·연구단체(기관) 네트워크 구축
    • 5·18 연구의 확장 및 담론 모색을 위한 국내·외 학술대회 개최
    • 5·18 기초연구자료 발굴 및 세계적 활용을 위한 연구물 발간·번역
    • 5·18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전문/신진 연구자 활동 증진
    • 5·18 연구성과의 체계적 수집을 위한 연구성과 DB구축 및 서비스
  • 5·18 진상규명 후속작업을 위한 방향 제시

문의

  • 5·18국제연구원 062-360-0570
27번 게시글
공동학술대회 "5·18 유산과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개최(9.15)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09-14     조회 : 338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한국사회통합학회,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SSK 갈등해결과 통합의 정치연구팀 공동주최 학술대회

 

5·18 유산과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일시 : 2023. 9. 15.(금) 14:00~17:30

장소 : 숙명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 608호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과 한국사회통합학회,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SSK 갈등해결과 통합의 정치연구팀은 <5·18 유산과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를 주제로 하는 학술대회를 공동개최합니다. 관심있는 연구자와 시민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패널1. 5·18 유산과 한국의 공화주의

- 사회 : 김용복(경남대)

- 발표 : 홍태영(국방대) <민중이라는 주체의 탄생과 1980년대의 사회적 상상 : 5·18 광주의 계기와 1980년대의                 민주화 운동>

         김경희(이화여대) <대한민국과 민주공화국 : 건국헌법을 중심으로>

- 토론 : 권형기(서울대), 지병근(조선대)

 

● 패널2.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새로운 담론의 모색 

- 사회 : 윤광일(숙명여대)

- 발표 : 이상신(통일연구원) <지역주의와 통일의식의 변화>

         김주형(서울대)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 논의의 방향전환을 위한 고려사항>

         하상응(서강대) <외로움이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탐색적 자료분석>

- 토론 : 박현석(국회미래연구원), 김경미(서울대), 윤지환(이화여대)

 


 

【붙임】  포스터 1부   

 

※문의:  5·18국제연구원(062-360-0573) 

첨부파일


27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5·18국제연구원 운영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다음글 2023 5·18국제포럼 개최 <5·18과 책임>(11.2-4)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