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국제연구원

HOME > 주요사업 > 5‧18국제연구원
5·18국제연구원
세계 시민과 5·18 연구자를 위한 5·18국제연구원
5·18국제연구원은 5·18 연구 기반 구축 및 5·18 연구의 국제적 확산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5·18국제연구원은 5·18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하고 5·18 연구 지평을 확대해 나가며 5·18 연구를 위한 국제적인 플랫폼과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사업 방향

  • 5·18 항쟁에 대한 담론과 연구성과를 세계 시민들과 공유
  • 5·18 정신의 확산을 위한 자유·민주·인권·평화 연구플랫폼 및 연구자·연구단체(기관) 네트워크 구축
    • 5·18 연구의 확장 및 담론 모색을 위한 국내·외 학술대회 개최
    • 5·18 기초연구자료 발굴 및 세계적 활용을 위한 연구물 발간·번역
    • 5·18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전문/신진 연구자 활동 증진
    • 5·18 연구성과의 체계적 수집을 위한 연구성과 DB구축 및 서비스
  • 5·18 진상규명 후속작업을 위한 방향 제시

문의

  • 5·18국제연구원 062-360-0570
10번 게시글
5·18국제연구원 아젠다 포럼 사전 설문조사 결과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04-27     조회 : 505


5·18국제연구원 아젠다 포럼 사전 설문조사 결과

 

411일부터 20일까지 실시된 5·18국제연구원 아젠다 포럼 사전 설문조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참여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설문조사 개요

   ❍ 설문기간 : 2023. 4. 11.() ~ 4. 20.()

   ❍ 설문방법 : 온라인 설문 작성을 통한 비대면 조사

   ❍ 홍보방법 : 보도자료 배포 및 재단 홈페이지 팝업/공지, 5·18기념재단 뉴스레터 발송 등

   ❍ 설문내용

    - 현 정부의 대선 공약에 포함된 ‘5·18국제자유민주인권연구원관련 인식도 조사

    - 5·18국제연구원의 우선 추진 사업 관련 의견 조사

    - 5·18국제연구원이 수행해야 할 연구 사업 및 연구 영역 관련 의견 조사

    - 428일 개최될 5·18국제연구원 아젠다 포럼 현장 참석 여부

    -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

   ❍ 설문참여인원 : 100

 

 인구사회학적 특성

   ❍ 성별

    - 여성 : 56%       - 남성 : 44%


 

 

 연령

- 20: 15%     - 30: 29%

- 40: 33%     - 50: 13%     - 60대 이상 : 10%

 

 

 

 거주지

    - 광주 : 77%

    - 광주 외 : 21%

    - 국외 등 : 2%

 



 질문 1

   ❍ 현 정부는 5·18민주화운동을 기리고, 5·18의 위상을 국내외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5·18국제자유민주인권연구원설립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한바 있습니다. 귀하께서는 이 공약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시도공약집 내 광주-6)

- 알고 있다. : 54%

         - 모른다 : 46%                                                       

 

 

* 연령별 응답 비율

연령 알고 있다 모른다
20대 80% 20%
30대 66% 34%
40대 45% 55%
50대 38% 62%
60대 이상 30% 70%
합계 54% 46%

 

 질문 2

   ❍ 5·18국제연구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복 응답 가능)

    -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반 조성(관련 법률, 공간 마련) : 64%

    - 자체 연구 인력 선발 및 연구 활동 : 43%

    - 국내 학술 및 연구 활동 지원 : 25%

    - 국외 학술 번역 및 국제 네트워크 : 27%

    - 전문인력 양성 및 시민 교육사업 : 27%


* 연령별 응답 비율

안정운영/기반조성인력선발국내연구지원국외연구번역인력양성/시민교육
20대 40% 27% 20% 53% 40%
30대 76% 41% 21% 38% 24%
40대 55% 55% 30% 15% 18%
50대 69% 54% 15% 15% 31%
60대 이상 90% 20% 40% 10% 40%
합계 64% 43% 25% 27% 27%

 

 

 질문 3

 앞으로 5·18국제연구원이 수행할 연구 사업 중 가장 우선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5·18 관련자의 생활 현황 및 실태조사(양적 조사 연구 수행) : 18%

 - 순수 학문 연구 활동 지원(질적 조사 연구 수행) : 14%

 - 국내 연구 결과물의 외국어 번역 소개 및 해외 연구활동 증진 지원(국외연구 지원) : 21%

 - 자유, 민주, 인권, 평화 등 5·18연구의 확장(국내연구 지원) : 47% 

* 연령별 응답 비율 

연령실태/양적조사순수학문/질적조사국외연구지원국내연구지원
20대 20% 0% 33% 47%
30대 24% 21% 21% 34%
40대 12% 18% 15% 55%
50대 8% 8% 31% 54%
60대 이상 30% 10% 10% 50%
합계 18% 14% 21% 47%

 

 

 질문 4

 5·18연구자들이 수행할 연구 영역 중 가장 우선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5·18진상규명 및 왜곡 대응을 위한 조사 연구 : 22%

 - 5·18의 현재화를 비롯한 기억·기념 및 정신 계승을 위한 연구 : 41%

 - 5·18의 교육, 문화화를 위한 교육, 문화, 예술 지원 연구 : 22%

 - 5·18의 세계화를 위한 5·18 자료 번역 및 연구물 번역·발간 : 14%

 - (기타) 자신의 전공분야를 5·18연구로 탁월하게 이어나가는 것 : 1%

 
* 연령별 응답 비율
연령진상규명/왜곡조사현재화/기억기념문화예술지원번역발간기타
20대 27% 33% 20% 20% 0%
30대 24% 38% 24% 14% 0%
40대 15% 36% 30% 15% 3%
50대 23% 54% 15% 8% 0%
60대 이상 30% 60% 0% 10% 0%
합계 22% 41% 22% 14% 1%


 질문 5

 기타 5·18국제연구원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 

  - 5·18 관련 세미나, 학술대회 등 관련 행사 개최지의 전국화

  - 5·18 연구의 네트워크 기반 구축(연구자들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 수집된 자료에 접근이 용이한 아카이브 구축

  - 5·18 관련 사안의 현황과 이에 따라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과 관련 활동(재단, 진상규명조사위원회 등)이 일괄적으로 정리/검토된 후 분석과 공유

  - 이미 많이 만들어진 5·18 관련 기관 및 연구 인력과 중복되는 임무는 최대한 피하고, ‘국제연구라는 이름에 걸맞는 활동 전담

  - 기반 조성, 인력 채용

  - 연구영역과 교육 및 문화영역의 선순환 구조 설계

  - 5·18의 보편적 가치 추구(5·18 단체의 폐쇄성이 이어지면 외면받을 가능성 존재)

 - 연구원이 정치적 자리 마련이나 정치적 결정에 흔들리지 않기를 기원. 기억의 계승과 대안의 마련, 미래를 향한 가치의 창출도 함께 고민하고 대안을 찾아갈 수 있는 조직

 - 지역 내 인맥이나 특정 학교에 의해 독점되는 연구원이 된다면 차라리 만들지 않는 것이 낫고, 그렇지만 나눠먹기식 자리분배에는 반대함. 제 역할을 할 수 있으면서도, 정치 바람에 흔들리지 않아야 함

 - 향후 5·18의 가치를 바르게 세울 수 있는 연구원, 국내외 다른 연구기관에게 대안(조직적인 면과 의제 설정, 연구 역량 등)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함

 - 광주를 뛰어넘고 한국을 뛰어넘어, 널리 인재를 끌어 모아 새로운 의제를 선도하는 연구원이 되기를 바람

 - 5·18의 현재화, 학문 후속세대를 위한 지원, 국제현안에 대한 5·18의 응답

 - 민주주의, 인권, 평화와 정의를 다루는 글로벌 허브 기관으로 도약, 미래지향적 포지셔닝

 - 5·18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

 - 비전과 장기적 목표 필요

 - 개인이 못하는 규모의 의식조사 꾸준히 수행

 - 5·18을 기념하는 방식이나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

 - 5·18의 정신이 갖는 세계사적 의미 탐색

 - 5·18을 왜곡하는 역사인식에 대한 대책 수립 및 홍보

 - 문화산업으로서의 5·18 다크투어가 아닌 계승이자 교육으로서의 5·18 정신 확산 사업에 대한 고민

 

 기타 5·18국제연구원 토론회에서 이야기되어야 할 내용이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

 - 연구원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

 - 연구원의 비전, 향후 5~10년에 대한 추진 목표 등

- 연구의 성격과 사안에 따라 개별기관 설립을 통해 진행되거나 관계기관이 통합되어 진행되어야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토론

 - 5·18의 민주, 평화, 인권 의제의 확산과 연결에 대한 연구의 체계적 수행 방안

 - 연구원의 운영 성과로 정량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가시적이고 의미있는 성과가 무엇인지에 대한 토론

 - 5·18 정신이 정치적으로 악용되지 않는 방안에 대한 토론

 - 5·18을 기반으로 한 세계의 민주·인권 이슈를 묶을 수 있는 방안

 - 연구원의 인원 구성 계획, 연도별 운영 계획

 - 한국 민주화운동에 대한 국제적 활동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논의

 - 5·18 단체 및 소수 관련자들의 정의와 신뢰가 올바르게 세워져야 국제적으로도 위상이 바로 설 것

 

 

* 붙임. 5·18국제연구원 아젠다 포럼 사전 설문조사 결과 1부.

* 문의. 5·18국제연구원 062-360-0572

 

첨부파일


10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5·18국제연구원 운영 규정
다음글 광주지역 의견 수렴 공청회 <5·18국제연구원, 무엇을 담을 것인가?> 토론 내용 및 사후자료집 공유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