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국민인식지수
- 2016년 5·18 국민인식지수는 60.1점으로 나타남. 5·18국민인식지수의 항목별로는 5·18 이미지가 80.0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5·18 기여도(62.3점), 5·18 인지도(46.5점)의 순으로 나타남.
- 5·18국민인식지수는 5·18민주화운동 인지자가 67.4점으로 비인지자(42.9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 5·18기념재단 인지자가 71.9점으로 비인지자(56.5점) 보다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5·18
인지도 |
5·18
기여도 |
5·18
이미지 |
5·18
국민인식지수 |
| 전 체 |
1,000 |
46.5 |
62.3 |
80.0 |
60.1 |
| 5·18민주화운동인지여부 |
인지 |
516 |
59.0 |
66.2 |
83.3 |
67.4 |
| 보통 |
349 |
38.9 |
60.3 |
77.7 |
55.6 |
| 비인지 |
135 |
19.3 |
52.6 |
73.0 |
42.9 |
| 5·18기념재단인지여부 |
인지 |
109 |
68.9 |
68.6 |
80.6 |
71.9 |
| 보통 |
190 |
55.5 |
66.1 |
81.7 |
65.5 |
| 비인지 |
700 |
40.6 |
60.2 |
79.4 |
56.5 |
5·18 인지도
- 5·18 인지도는 46.5점으로 나타남. 5·18 인지도의 항목별로 살펴보면 5·18민주화운동이 62.6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국립5·18민주묘지(49.5점), 5·18민주화운동 국가기념일(42.6점), 5·18특별법(31.9점)의 순으로 나타남.
- 5·18 인지도는 5·18민주화운동 인지자가 59.0점으로 비인지자(19.3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 5·18기념재단 인지자가 68.9점으로 비인지자(40.6점) 보다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5·18민주화 운동 인지도
| 5·18특별법 인지도
| 5·18
국가기념일
| 국립5·18민주묘지
| 5·18 인지도
|
| 전 체 |
1,000 |
62.6 |
31.9 |
42.6 |
49.5 |
46.5 |
| 5·18민주화운동인지여부 |
인지 |
516 |
82.8 |
42.1 |
51.1 |
60.4 |
59.0 |
| 보통 |
349 |
50.0 |
24.8 |
37.7 |
43.1 |
38.9 |
| 비인지 |
135 |
18.0 |
11.1 |
23.3 |
24.7 |
19.3 |
| 5·18기념재단인지여부 |
인지 |
109 |
78.0 |
57.5 |
64.3 |
76.7 |
68.9 |
| 보통 |
190 |
67.6 |
42.5 |
53.0 |
59.0 |
55.5 |
| 비인지 |
700 |
58.9 |
25.0 |
36.4 |
42.7 |
40.6 |
5·18 기여도
- 5·18 기여도는 62.3점으로 나타남. 5·18 기여도의 항목별로 살펴보면 한국의 민주화가 77.1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57.7점), 한국의 평화통일(52.3점)의 순으로 나타남.
- 5·18 기여도는 5·18민주화운동 인지자가 66.2점으로 비인지자(52.6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 5·18기념재단 인지자가 68.6점으로 비인지자(60.2점) 보다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한국의 민주화
| 한국의 평화통일
|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
| 5·18 기여도
|
| 전 체 |
1,000 |
77.1 |
52.3 |
57.7 |
62.3 |
| 5·18민주화운동인지여부 |
인지 |
516 |
81.5 |
55.3 |
62.2 |
66.2 |
| 보통 |
349 |
74.2 |
50.8 |
55.5 |
60.3 |
| 비인지 |
135 |
67.5 |
44.7 |
46.5 |
52.6 |
| 5·18기념재단인지여부 |
인지 |
109 |
83.1 |
57.7 |
65.3 |
68.6 |
| 보통 |
190 |
78.8 |
57.8 |
62.1 |
66.1 |
| 비인지 |
700 |
75.7 |
49.9 |
55.3 |
60.2 |
5·18 이미지
- 5·18 이미지는 80.0점으로 나타남. 5·18 이미지의 항목별로 살펴보면 북한과의 비연결이 82.8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불순세력 폭력사태와의 무관련(78.7점), 국가의 폭력에 대한 저항(77.1점)의 순으로 나타남.
- 5·18 이미지는 5·18민주화운동 인지자가 83.3점으로 비인지자(73.0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 5·18기념재단 인지자가 80.6점으로 비인지자(79.4점) 보다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국가의 폭력에 대한 저항
| 북한과의 비연결
| 불순세력 폭력사태와의 무관련
| 5·18 이미지
|
| 전 체 |
1,000 |
77.1 |
82.8 |
78.7 |
80.0 |
| 5·18민주화운동인지여부 |
인지 |
516 |
81.1 |
86.6 |
80.8 |
83.3 |
| 보통 |
349 |
74.3 |
79.5 |
77.4 |
77.7 |
| 비인지 |
135 |
68.8 |
76.5 |
73.9 |
73.0 |
| 5·18기념재단인지여부 |
인지 |
109 |
79.1 |
84.1 |
77.9 |
80.6 |
| 보통 |
190 |
78.8 |
82.6 |
82.4 |
81.7 |
| 비인지 |
700 |
76.3 |
82.6 |
77.8 |
79.4 |
5·18기념재단 평가지수
- 2016년 5·18기념재단 평가지수는 77.3점으로 나타남. 5·18기념재단 평가지수의 항목별로는 5·18기념재단 사업 만족도가 79.7점, 5·18기념재단 조직평가가 74.8점으로 나타남.
- 5·18기념재단 평가지수는 5·18기념행사(사업)를 '만족'한 응답자가 83.2점으로 ‘불만족’한 응답자(40.7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 5·18기념재단 인지자가 77.7점으로 비인지자(76.0점) 보다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5·18기념재단 사업만족도
| 5·18기념재단 조직평가
| 5·18
기념재단 평가지수
|
| 전 체 |
1,097 |
79.7 |
74.8 |
77.3 |
| 5·18기념행사(사업) 전반적 만족도 |
만족 |
844 |
86.1 |
80.3 |
83.2 |
| 보통 |
202 |
62.0 |
59.9 |
61.0 |
| 불만족 |
49 |
42.2 |
39.2 |
40.7 |
| 무응답 |
2 |
80.0 |
91.7 |
85.8 |
| 5·18기념재단인지도 |
인지 |
740 |
80.1 |
75.3 |
77.7 |
| 비인지 |
350 |
78.5 |
73.4 |
76.0 |
| 무응답 |
7 |
94.0 |
94.2 |
94.1 |
5·18기념재단 사업만족도
- 5·18기념재단 사업 만족도는 79.7점으로 나타남. 5·18기념재단 사업만족도의 항목별로 살펴보면 동일한 행사 참여의사가 82.7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재단 설립목적 부합(82.2점), 5·18정신구현(79.9점), 진행과 운영의 원활(77.0점), 행사(사업)에 대한 정보제공(76.3점)의 순으로 나타남.
- 5·18기념재단 사업만족도는 5·18기념행사(사업)를 '만족'한 응답자가 86.1점으로 ‘불만족’한 응답자(42.2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 5·18기념재단 인지자가 80.1점으로 비인지자(78.5점) 보다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5·18민주화 정신 구현
| 재단 설립목적에 부합
| 진행과 운영의 원활
| 행사(사업)에 대한
정보 제공
| 동일한 행사(사업) 참여 의사
| 5·18
기념재단 사업만족도
|
| 전 체 |
1,097 |
79.9 |
82.2 |
77.0 |
76.3 |
82.7 |
79.7 |
| 5·18기념행사(사업) 전반적 만족도 |
만족 |
844 |
87.1 |
88.6 |
83.6 |
82.7 |
88.3 |
86.1 |
| 보통 |
202 |
59.8 |
63.2 |
58.5 |
59.1 |
68.8 |
62.0 |
| 불만족 |
49 |
39.8 |
50.0 |
40.8 |
36.7 |
43.9 |
42.2 |
| 무응답 |
2 |
75.0 |
100.0 |
75.0 |
75.0 |
75.0 |
80.0 |
| 5·18기념재단인지도 |
인지 |
740 |
80.4 |
82.8 |
76.8 |
76.5 |
84.2 |
80.1 |
| 비인지 |
350 |
78.6 |
81.1 |
77.4 |
75.7 |
79.2 |
78.5 |
| 무응답 |
7 |
87.5 |
79.2 |
83.3 |
91.7 |
100.0 |
94.0 |
5.18기념재단 조직평가
- 5·18개념재단 조직평가는 74.8점으로 나타남. 5·18 기여도의 항목별로 살펴보면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이해도가 80.9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5·18기념재단에 대한 이해도(76.4점), 다양한 영역의 사업(75.3점), 사업의 전문성(74.7점), 참여자들 간의 의사소통(71.5점), 운영 체계성(69.7점)의 순으로 나타남.
- 5·18기념재단 조직평가는 5·18기념행사(사업)를 '만족'한 응답자가 80.3점으로 ‘불만족’한 응답자(39.2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 5·18기념재단 인지자가 75.3점으로 비인지자(73.4점) 보다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운영의 체계성
| 사업의 전문성
| 참여자들간의 의사소통
| 다양한 영역의 사업
| 5·18
민주화운동 이해도
| 5·18
기념재단이해도
| 5·18
기념재단 조직평가
|
| 전 체 |
1,097 |
69.7 |
74.7 |
71.5 |
75.3 |
80.9 |
76.4 |
74.8 |
| 5·18기념행사(사업) 전반적 만족도 |
만족 |
844 |
75.4 |
80.5 |
77.4 |
80.7 |
86.3 |
81.7 |
80.3 |
| 보통 |
202 |
54.9 |
59.5 |
55.1 |
61.1 |
67.0 |
62.4 |
59.9 |
| 불만족 |
49 |
33.2 |
37.8 |
35.7 |
39.8 |
45.4 |
43.4 |
39.2 |
| 무응답 |
2 |
100.0 |
100.0 |
100.0 |
100.0 |
75.0 |
75.0 |
91.7 |
| 5·18기념재단인지도 |
인지 |
740 |
70.3 |
76.0 |
71.2 |
76.2 |
81.0 |
77.0 |
75.3 |
| 비인지 |
350 |
68.1 |
71.7 |
71.8 |
73.1 |
80.7 |
74.9 |
73.4 |
| 무응답 |
7 |
95.0 |
95.0 |
90.0 |
95.0 |
95.0 |
95.0 |
94.2 |
5·18민주화운동의 쟁점
- 2016년 5·18민주화운동의 올바른 해결을 위해 잘 구현되고 있는 쟁점은 5·18기념사업 추진이 54.4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5·18진상규명(43.7점), 5·18피해자 명예회복(38.8점), 5·18피해자 배상(38.5점), 학살책임자 처벌(26.8점)의 순으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의 쟁점 중 5·18기념사업 추진이라는 응답은 사업참여자가 61.7점으로 일반국민(45.8점) 보다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는 보수가 56.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단위: 점)
|
| 사례수
(명)
| 5·18진상규명
| 학살책임자
처벌
| 5·18피해자
명예회복
| 5·18피해자
배상
| 5·18기념사업
추진
|
| 전 체 |
2,097 |
43.7 |
26.8 |
38.8 |
38.5 |
54.4 |
| 구분 |
일반국민 |
1,000 |
38.3 |
25.2 |
35.4 |
35.1 |
45.8 |
| 사업참여자 |
1,097 |
48.4 |
28.2 |
41.9 |
41.4 |
61.7 |
| 정치
성향 |
진보 |
1,152 |
40.0 |
20.7 |
35.0 |
34.3 |
53.0 |
| 중도 |
460 |
48.2 |
33.8 |
41.6 |
41.7 |
55.3 |
| 보수 |
456 |
48.5 |
35.3 |
45.4 |
46.4 |
56.8 |
| 무응답 |
28 |
44.6 |
36.6 |
48.2 |
43.7 |
64.0 |
5·18 진상규명
- 5·18진상규명은 잘 이루어졌다는 질문에 ‘그렇다’는 26.9%(매우 그렇다 : 8.7% + 약간 그렇다 : 18.2%)로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다’는 46.1%(전혀 그렇지 않다 : 14.6% + 별로 그렇지 않다 : 31.5%)로 나타남. (보통: 25.6%, 모름: 1.3%)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43.7점으로 나타남.
- 일반국민(52.0%)이 사업참여자(40.7%) 보다 5·18 진상규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는 진보(5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단위: %)
|
| 사례수
(명)
| 전혀 그렇지 않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
| 약간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종합
| 100점 평균
(점)
|
| 그렇지 않음
| 보통
| 그러함
|
| 전 체 |
2,097 |
14.6 |
31.5 |
25.6 |
18.2 |
8.7 |
46.1 |
25.6 |
26.9 |
43.7 |
| 구분 |
일반국민 |
1,000 |
18.4 |
33.6 |
25.4 |
15.3 |
4.8 |
52.0 |
25.4 |
20.1 |
38.3 |
| 사업참여자 |
1,097 |
11.2 |
29.5 |
25.9 |
20.9 |
12.3 |
40.7 |
25.9 |
33.2 |
48.4 |
| 정치
성향 |
진보 |
1,152 |
18.6 |
33.9 |
24.0 |
15.7 |
7.6 |
52.5 |
24.0 |
23.3 |
40.0 |
| 중도 |
460 |
10.4 |
28.2 |
26.3 |
24.0 |
9.1 |
38.6 |
26.3 |
33.1 |
48.2 |
| 보수 |
456 |
9.5 |
28.6 |
28.8 |
19.3 |
11.3 |
38.1 |
28.8 |
30.5 |
48.5 |
| 무응답 |
28 |
6.3 |
31.4 |
31.0 |
10.2 |
7.6 |
37.7 |
31.0 |
17.9 |
44.6 |
학살책임자 처벌
- 학살책임자 처벌은 잘 이루어졌다는 질문에 ‘그렇다’는 12.7%(매우 그렇다 : 3.8% + 약간 그렇다 : 8.8%)로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다’는 68.4%(전혀 그렇지 않다 : 38.7% + 별로 그렇지 않다 : 29.7%)로 나타남. (보통: 16.5%, 모름: 2.4%)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26.8점으로 나타남.
- 일반국민(68.7%)이 사업참여자(68.2%) 보다 학살책임자 처벌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는 진보(78.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단위: %)
|
| 사례수
(명)
| 전혀 그렇지 않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
| 약간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종합
| 100점 평균
(점)
|
| 그렇지 않음
| 보통
| 그러함
|
| 전 체 |
2,097 |
38.7 |
29.7 |
16.5 |
8.8 |
3.8 |
68.4 |
16.5 |
12.7 |
26.8 |
| 구분 |
일반국민 |
1,000 |
38.9 |
29.8 |
16.3 |
7.4 |
2.8 |
68.7 |
16.3 |
10.2 |
25.2 |
| 사업참여자 |
1,097 |
38.6 |
29.6 |
16.7 |
10.1 |
4.8 |
68.2 |
16.7 |
14.9 |
28.2 |
| 정치
성향 |
진보 |
1,152 |
50.6 |
27.9 |
11.2 |
6.2 |
3.2 |
78.5 |
11.2 |
9.4 |
20.7 |
| 중도 |
460 |
26.3 |
30.6 |
24.5 |
11.7 |
4.2 |
57.0 |
24.5 |
15.9 |
33.8 |
| 보수 |
456 |
22.2 |
33.7 |
21.1 |
12.2 |
5.2 |
56.0 |
21.1 |
17.4 |
35.3 |
| 무응답 |
28 |
20.1 |
24.0 |
28.3 |
16.5 |
0.0 |
44.1 |
28.3 |
16.5 |
36.6 |
(*모름:2.4%)
5·18 피해자 명예회복
- 5·18피해자 명예회복은 잘 이루어졌다는 질문에 ‘그렇다’는 22.3%(매우 그렇다 : 6.5% + 약간 그렇다 : 15.8%)로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다’는 52.7%(전혀 그렇지 않다 : 20.2% + 별로 그렇지 않다 : 32.5%)로 나타남. (보통: 23.7%, 모름: 1.3%)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38.8점으로 나타남.
- 일반국민(56.4%)이 사업참여자(49.3%) 보다 5·18 피해자 명예회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는 진보(59.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단위: %)
|
| 사례수
(명)
| 전혀 그렇지 않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
| 약간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종합
| 100점 평균
(점)
|
| 그렇지 않음
| 보통
| 그러함
|
| 전 체 |
2,097 |
20.2 |
32.5 |
23.7 |
15.8 |
6.5 |
52.7 |
23.7 |
22.3 |
38.8 |
| 구분 |
일반국민 |
1,000 |
25.3 |
31.0 |
21.7 |
14.1 |
5.3 |
56.4 |
21.7 |
19.4 |
35.4 |
| 사업참여자 |
1,097 |
15.5 |
33.8 |
25.4 |
17.3 |
7.7 |
49.3 |
25.4 |
25.0 |
41.9 |
| 정치
성향 |
진보 |
1,152 |
24.9 |
34.8 |
20.2 |
14.0 |
5.5 |
59.7 |
20.2 |
19.5 |
35.0 |
| 중도 |
460 |
17.4 |
27.9 |
29.8 |
15.5 |
7.0 |
45.3 |
29.8 |
22.6 |
41.6 |
| 보수 |
456 |
12.2 |
31.3 |
25.4 |
20.6 |
8.5 |
43.5 |
25.4 |
29.2 |
45.4 |
| 무응답 |
28 |
3.2 |
31.7 |
34.0 |
16.8 |
7.3 |
34.9 |
34.0 |
24.1 |
48.2 |
(*모름:1.3%)
5·18 피해자 배상
- 5·18 피해자 배상은 잘 이루어졌다는 질문에 ‘그렇다’는 19.2%(매우 그렇다 : 6.0% + 약간 그렇다 : 13.2%)로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다’는 50.6%(전혀 그렇지 않다 : 18.1% + 별로 그렇지 않다 : 32.5%)로 나타남. (보통: 25.2%, 모름: 5.0%)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38.5점으로 나타남.
- 일반국민(53.4%)이 사업참여자(48.1%) 보다 5·18 피해자 배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는 진보(58.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단위: %)
|
| 사례수
(명)
| 전혀 그렇지 않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
| 약간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종합
| 100점 평균
(점)
|
| 그렇지 않음
| 보통
| 그러함
|
| 전 체 |
2,097 |
18.1 |
32.5 |
25.2 |
13.2 |
6.0 |
50.6 |
25.2 |
19.2 |
38.5 |
| 구분 |
일반국민 |
1,000 |
21.3 |
32.0 |
21.0 |
10.8 |
5.1 |
53.4 |
21.0 |
15.9 |
35.1 |
| 사업참여자 |
1,097 |
15.2 |
32.9 |
29.0 |
15.4 |
6.8 |
48.1 |
29.0 |
22.2 |
41.4 |
| 정치
성향 |
진보 |
1,152 |
23.3 |
35.1 |
23.5 |
10.6 |
5.0 |
58.4 |
23.5 |
15.6 |
34.3 |
| 중도 |
460 |
13.3 |
30.6 |
30.2 |
14.7 |
5.5 |
43.9 |
30.2 |
20.2 |
41.7 |
| 보수 |
456 |
10.6 |
28.5 |
24.4 |
18.1 |
9.3 |
39.1 |
24.4 |
27.4 |
46.4 |
| 무응답 |
28 |
9.6 |
21.1 |
24.8 |
13.6 |
4.1 |
30.7 |
24.8 |
17.7 |
43.7 |
(*모름:5.0%)
5·18 기념사업 추진
- 5·18 기념사업 추진은 잘 이루어졌다는 질문에 ‘그렇다’는 35.8%(매우 그렇다 : 12.1% + 약간 그렇다 : 23.7%)로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다’는 25.6%(전혀 그렇지 않다 : 5.3% + 별로 그렇지 않다 : 20.3%)로 나타남. (보통: 34.3%, 모름: 4.3%)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54.4점으로 나타남.
- 사업참여자(50.0%)가 일반국민(20.1%) 보다 5·18기념사업이 잘 추진되고 있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는 보수(37.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단위: %)
|
| 사례수
(명)
| 전혀 그렇지 않다
| 별로 그렇지 않다
| 보통
| 약간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종합
| 100점 평균
(점)
|
| 그렇지 않음
| 보통
| 그러함
|
| 전 체 |
2,097 |
5.3 |
20.3 |
34.3 |
23.7 |
12.1 |
25.6 |
34.3 |
35.8 |
54.4 |
| 구분 |
일반국민 |
1,000 |
7.7 |
27.0 |
36.3 |
13.3 |
6.8 |
34.7 |
36.3 |
20.1 |
45.8 |
| 사업참여자 |
1,097 |
3.1 |
14.1 |
32.5 |
33.2 |
16.9 |
17.2 |
32.5 |
50.0 |
61.7 |
| 정치
성향 |
진보 |
1,152 |
6.4 |
21.8 |
33.4 |
24.5 |
10.9 |
28.2 |
33.4 |
35.4 |
53.0 |
| 중도 |
460 |
4.3 |
18.8 |
38.6 |
21.7 |
13.1 |
23.1 |
38.6 |
34.7 |
55.3 |
| 보수 |
456 |
3.8 |
18.5 |
32.2 |
24.3 |
13.6 |
22.3 |
32.2 |
37.9 |
56.8 |
| 무응답 |
28 |
0.0 |
11.1 |
35.8 |
13.9 |
21.8 |
11.1 |
35.8 |
35.7 |
64.0 |
(*모름:4.3%)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훼손의 심각성
-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훼손의 심각성에 대해 ‘심각하다’는 72.8%(매우 심각하다 : 46.7% + 약간 심각하다 : 27.6%)로 나타난 반면, ‘심각하지 않다’는 7.6%(전혀 심각하지 않다 : 1.5% + 별로 심각하지 않다 : 6.3%)로 나타남. (보통: 17.9%, 모름: 2.1%)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77.9점으로 나타남.
- 사업참여자(83.4%)가 일반국민(61.2%) 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훼손이 심각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는 진보(82.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단위: %)
|
| 사례수
(명)
| 전혀 심각하지 않다
| 별로 심각하지 않다
| 보통
| 약간 심각하다
| 매우 심각하다
| 종합
| 100점 평균
(점)
|
| 심각안함
| 보통
| 심각함
|
| 전 체 |
2,097 |
1.5 |
6.2 |
17.5 |
27.0 |
45.8 |
7.6 |
17.5 |
72.8 |
77.9 |
| 구분 |
일반국민 |
1,000 |
2.1 |
9.3 |
23.4 |
29.8 |
31.3 |
11.4 |
23.4 |
61.2 |
70.6 |
| 사업참여자 |
1,097 |
0.8 |
3.4 |
12.1 |
24.4 |
59.0 |
4.2 |
12.1 |
83.4 |
84.4 |
| 정치
성향 |
진보 |
1,152 |
0.6 |
3.4 |
12.2 |
21.5 |
61.2 |
4.0 |
12.2 |
82.7 |
85.2 |
| 중도 |
460 |
2.6 |
7.1 |
22.2 |
34.1 |
31.8 |
9.7 |
22.2 |
65.9 |
71.8 |
| 보수 |
456 |
2.3 |
12.1 |
26.0 |
34.1 |
22.7 |
14.3 |
26.0 |
56.8 |
66.2 |
| 무응답 |
28 |
3.2 |
9.7 |
20.9 |
21.6 |
18.0 |
12.9 |
20.9 |
39.6 |
64.1 |
(*모름: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