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념재단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 전남대5·18연구소 · 광주여성가족재단 공동주관학술대회
세계의 기억, 세 개의 기록
일시: 2023. 11. 30. ~ 12. 1.
장소: 5·18민주화운동기록관 7층 등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전남대5·18연구소, 광주여성가족재단과 <세계의 기억, 세 개의 기록>을 주제로 하는 학술대회를 공동주관합니다. 관심있는 연구자와 시민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1일차(11. 30)
구분 | 시간 | 내용 |
등록 | 13:00 ∼13:10 | | 등록부 작성 및 자료집 배부 |
개회식 | 13:10 ~13:30 | 개회식 | 1. 개 회 사 : 홍인화(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 2. 축 사 : 원순석(5·18기념재단 이사장) 3. 축 사 : 민병로(전남대학교 5․18연구소장) 4. 축 사 : 김경례(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 |
제1회의 | 13:30 ∼ 15:00 | 5‧18 이후 기억 투쟁 기록 | 사회 : 김희송(전남대5·18연구소) |
<발제1> 5․18 기억하기와 기록하기에 관한 단상/강 한(전남대5·18연구소) <발제2> 5․18단체 연대조직 형성과 변천 주요 기록물 연구/전용호 - 토론1 김올튼(전남대 5‧18연구소) - 토론2 김지영(전남대 사회학과) |
휴식 | 15:00 ~15:15 | | |
제2회의 | 15:15 ∼ 16:45 | 오월 여성 기록 | 사회 : 박강배(광주문화재단) |
<발제1>젠더 관점으로 바라본 공공역사의 실천과 전망 / 정미경(광주여성가족재단 성평등문화팀장) <발제2>오월 여성을 다시 기억하여 기록하다 / 이춘희(전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팀장) - 토론1 이영진(강원대 인류학과) - 토론2 이정선(조선대 역사문화학과) |
휴식 | 16:45 ~17:00 | | |
제3회의 | 17:00 ~ 18:30 | 5‧18과 공공 기록 | 사회 : 이동일(부산민주공원) |
<발제1> 기록의 공공성과 열병(fever)/ 유경남(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발제2> 5․18아카이브의 공공성과 기관 비평/ 김태현(한국외대 정보기록학과) - 토론1 윤지현(백기완노나메기재단 아키비스트) - 토론2 이정연(국가기록원 학예연구사) |
만찬 | 18:30 ~20:00 | | |
○ 2일차(12.1) *2일차 프로그램은 외빈 초청 행사로 진행됩니다.
구분 | 시간 | |
네트워크 회의 | 9:00 ∼ 10:30 | 진행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
참여 기관(단체) 소개‧사업 공유, 협력 방안 논의 *[붙임] 참여 기관(단체) 참고 |
오월극 관람 | 10:30 ∼ 12:00 | 극단 토박이 “오! 금남식당” |
오찬 | 12:00 ~13:00 | 남도 밥상 |
사적지 답사 | 13:00 ~ 15:00 | 기록관, 전일빌딩245, 국립5‧18민주묘지 등 |

※ 관련정보 : https://www.518archives.go.kr/index.do?PID=053&bbsSn=01141
※ 문의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062-613-8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