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광주인권상 후보자 추천공고(~9.30) | |
|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2-06-02 조회 : 760 | |
|
2023 광주인권상 후보자 추천공고 □ 2023 광주인권상 ·광주인권상은 ‘오월 시민상(1991~1999)’과 ‘윤상원 상(1991~1999)’이 통합되어 그 취지를 계승하고 인권과 통일, 인류의 평화를 위해 지대한 공헌을 한 현존하는 국내외 인사 또는 단체를 시상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널리 선양하고자 2000년에 제정되었습니다. 현재까지 22명의 인사(공동수상자 포함)와 4개의 단체가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 수상자는 1인 또는 1개 단체를 원칙으로 하되, 공동수상자를 선정할 경우 1인 또는 1단체 이내에서 추가로 선정할 수 있습니다. 후보자 추천은 2022년 9월 30일까지입니다. 9월에 현지검증단 및 전문검증위원을 선정하여 10월~ 2023년 3월까지 수상자에 대한 검증이 실시한 후 5월 첫째 주에 수상자와 심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2023 광주인권상 시상식은 2023년 5월 18일에 개최 예정입니다. □ 2023 광주인권상 특별상 · 5·18기념재단에서는 지난 2011년 광주인권상 시상사업 평가를 통해 광주인권상 특별상을 제정하였습니다. 광주인권상 특별상은 매 2년마다 인권증진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언론인, 문화예술인, 작가 및 기타 이를 지원하고 후원한 인사들에게 시상됩니다. 광주인권상 특별상 수상자에게도 상금(미화 1만불)과 상패가 주어지며, 광주인권상 시상식에서 함께 시상됩니다. 특별상 후보자 추천서 양식은 광주인권상 후보자 추천양식과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 광주인권상 후보자 자격 · 민주주의 발전, 인권증진 그리고 평화를 위해 헌신해온 인사 또는 단체 · 시민사회 활동을 통해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증진에 기여한 인사 또는 단체 ※ 후보자(단체)는 스스로 후보자로 추천할 수 없으며 동일한 단체에서 소속인사를 추천할 수 없습니다. □ 광주인권상 심사위원회 심사방침 · 추천인은 1명 또는 1개 단체의 후보자만 추천할 수 있습니다. · 추천인은 후보자만 추천할 수 있고, 심사위원회의 결정에 어떠한 영향도 줄 수 없습니다. · 심사위원회는 추천된 후보자 수만 공개하고, 후보자 및 추천내용에 대해 공개하지 않습니다. □ 후보자 추천 접수 방법 및 기한 ·이메일 접수 : gwangjuprize@gmail.com ·우편 접수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1층 5.18기념재단 광주인권상 담당자 ·2022년 9월 30일 후보자 추천이 마감되며, 우편접수의 경우 마감일자 소인분 까지 유효합니다. □ 시상내용 및 기타사항 · 수상자에게는 미화 5만불과 금장메달, 상장이 수여됩니다. · 특별상 수상자에게는 미화 1만불과 금장메달, 상장이 수여됩니다. · 광주인권상 수상자는 공식기자회견과 시상식에 참석하게 됩니다. □ 2023 광주인권상 세부일정 2022. 6월 ~9월 : 후보자 추천 공고 2022. 9. 30 : 후보자 추천 마감 2022. 9월 : 현지검증단 및 전문검증위원 선정 2022. 10월 ~ 2023. 3월 : 후보자 검증 2023. 5월 초 :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 2023. 5. 18 : 광주인권상 시상식 개최 2023. 6월 : 광주인권상 시상식 후속 처리 2023. 9월 : 부조물 제작 및 설치 □ 관련문의 · 5·18기념재단 국제연대부(www.518.org)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관 1층 - 전화 (062)360-0524, 팩스 (062)360-0519 □ 광주인권상 역대 수상자 · 2000년 : 사나나 구스마오 (동티모르저항민족회의 의장) · 2001년 : 바실 페르난도 (아시아인권위원회(AHRC) 상임대표) · 2002년 :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한국) · 2003년 : 단데니야 G. 자얀티 (스리랑카 실종자기념회 사무총장) · 2004년 : 아웅산 수찌 (버마(미얀마) NLD 사무총장) · 2005년 : 와르다 하피즈 (인도네시아 UPC 사무총장) · 2006년(공동수상) : 앙까나 닐라빠이짓 (태국 인권활동가), 말라라이 조야 (아프가니스탄 국회의원) · 2007년(공동수상) : 이롬 샤밀라, 레닌 라구와니쉬 (인도 인권활동가) · 2008년 : 무니르 말리크 (파키스탄 인권변호사) · 2009년 : 민꼬나잉 (버마 민주화운동가) · 2010년 : 수실 퍄큐렐 (네팔 인권운동가) · 2011년 : 비나약 센 (인도 인권운동가) · 2012년 : 문정현 신부(한국) · 2013년 : 망각과 침묵에 대항하여 정체성과 정의를 위해 싸우는 아들‧딸들(아르헨티나) · 2014년(공동수상) : 하바란의 어머니들(이란), 아딜루 라만 칸(방글라데시 인권운동가) · 2015년 : 라띠파 아눔 실레가르(인도네시아 ALDP 대표) · 2016년(공동수상) : 누옌 단 쿠에 (베트남 인권운동가), 버씨 2.0(말레이시아 NGO 단체) · 2017년 : 자투팟 분파타락사 (태국 콘캔대학교 학생) · 2018년 : 난다나 마나퉁가(스리랑카) · 2019년 : 조인나까리뇨(필리핀) · 2020년 : 벳조 운퉁(인도네시아) · 2021년 : 아논 남파(태국) · 2022년 : 신시아 마웅(미얀마) □ 광주인권상 특별상 수상자(수상단체) · 2011년 : 평화를 위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유가족협회 · 2013년 : 주간지 ‘템포’ (인도네시아) · 2015년 : 솜바스 솜폰(라오스) · 2017년 : 밤바라(부르키나파소) · 2019년 : 디알리타합창탄(인도네시아) · 2021년 : 워치독다큐멘터리메이커(인도네시아) |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함께 풀어보는 5·18 퀴즈 이벤트 정답, 당첨자 518명 / 5·18기념재단+경향신문 |
|---|---|
| 다음글 | [2022 광주민주포럼 최종문건] 코로나19 팬데믹, 민주주의와 인권의 위기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