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기념재단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유튜브
  • 518tv
  • 통합검색

이달의 일정

HOME > 재단소식 > 이달의 일정
을 위한 테이블
학술대회
공동학술대회-민주·인권 운동의 기억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사)지역공공정책플랫폼광주로, 5·18기념재단5·18국제연구원
2024-05-29 ~ 0000-00-00
13:30~16:30
전일빌딩245 4층 NGO 시민마루
062-360-0573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 / 김혜선


5·18국제연구원 공동학술대회 개최


"민주·인권 운동의 기억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공동주최·주관명: (사)지역공공정책플랫폼광주로, 5·18기념재단5·18국제연구원

참석인원: 50인 내외(현장)

운영방법: 청년 학술 콘서트 개최

내용: 민주·인권의 담론 및 정신 계승 활동이 청년(미래세대)들의 시각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참여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 앞으로의 민주화운동이 일상에서 지속가능하기 위해서 광주 사례는 물론 타지역의 사례경험을 나누며 연대와 결속을 강화.

 

세부일정(프로그램)

 시간

 주요내용

 비고

 13:30~14:00

 등록

 

 14:00~14:10

 개회사, 환영사, 축사

 

 14:10~14:15

 일정 및 패널 소개

 사회자 진행

 14:15~15:15

 <청년이 말하다, 기억의 연결>

1. 우리(청년)의 이야기는 왜 중요한가? / 민주화운동에 청년 담론은 왜 중요한가?

  -패널1. 김서라(전남대학교 철학과)

2. 타지역 사례와 활동 나눔

 1) 부마항쟁에 대한 청년 경험 및 활동

  - 패널2. 신현경(경남대학생겨레하나 사무국장)

 2) 제주 4·3항쟁에 대한 청년 경험 및 활동

  - 패널3. 김윤서(제주대학교 역사동아리 동백길)

 3) 여순항쟁에 대한 청년 경험 및 활동

  - 패널4. 임이경(순천YMCA간사, 여순항쟁청년 서포터즈)

3. 민주화운동의 가치르 일상으로 끌어들이기/ 일상 민주주의

  - 패널5. 박경주(난민인권센터 활동가)

 사회자 진행 

 15:15~15:30

 휴식 

 

 15:30~16:20 

 <패널 5인 및 현장 전체 토론>

  - 사전 질문지 청년에게 묻는다 활용

  - 현장 질의응답 및 토론 

 사회자 진행 

 16:20~16:30

 기념 촬영 및 마무리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