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
| 1792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를 규탄한다!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Condemns Myanmar’s Military Coup! 5·18기념재단은 금일 새벽(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를 통한 집권과 대통령 윈민트 대통령을 포함한... 2021-02-03 | 
| 1791  너머+너머 2. 홍콩 민주화 운동 홍콩의 민주주의 운동은 계속된다 김영미(시사인 국제문제 편집위원) 2019년의 뜨거웠던 홍콩의 민주화 시위는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다. 사회적 거리두기라... 2021-02-03 | 
| 1790  너머+너머 1. 태국 청년들의 세 손가락 경례 태국 시민들은 왜 거리로 나왔나 김향미(경향신문 국제부 기자) 태국 시민들이 군주제 개혁을 요구하며 민주화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성역으로 여겨졌던 ‘왕실’을 향... 2021-02-03 | 
| 1789  - 2020.11. 6.(금) 5·18 4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무한텍스트로서의 5·18>영원한 계쟁을 위하여 김형중 / 조선대 국어국문학과교수, 문학평론가 계쟁(係爭): 문제를 해결하거나 목적물... 2021-01-28 | 
| 1788  5·18을 기억하는 또다른 방법, 다크투어리즘이제는 실천할 때: 대중성 확보, 브랜딩, 통합 마케팅 김영미 / 동신대 관광경영학과 교수 다크투어리즘(Dark Tourism)이란 전쟁·학살 등 비극적인 역사 현장이나 엄청난 재난... 2021-01-28 | 
| 1787  권위주의, 군사주의의 부활: 아시아 민(民)의 연대 신승민 / 목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국장 5월 18일을 세계 군사주의와 권위주의 방지의 날로 제정하는 유엔(UN) 청원이 추진되고 있다. 5·18... 2021-01-28 | 
| 1786 “80년 이후 세대가 온다” 2020 5‧18인식조사 -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필요 - 5‧18인식지수, 5년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 - 대구·경북을 제외한 지역편차 개선과 청소년의 인식 지수 향상 &nbs... 2021-01-22 | 
| 1785  제가 5·18을 이야기해도 될까요?불혹(不惑) 넘긴 오월 광주, 당사자주의를 넘어 광주MBC 김철원 기자 5·18 40주년, 지난해 나는 언론인으로서 특별한 경험을 정말 많이 했다. 5·18 다큐멘터리 2부작 <이름... 2021-01-22 | 
| 1784  5·18 관련 학술연구 성과 수집·분석 진행 5·18기념재단, 5·18 관련 학술연구 성과 수집·분석 기초조사 진행2006~2020.8. 5‧18 관련 학위논문 83편, 학술논문 263편, 도서 60여 권5‧18 연구를 위한 지역 편향 극복, 후속 연구... 2021-01-21 | 
| 1783  “침묵하면 죽을 것 같고 말을 하면 우스워진다.” 공선옥 작가 풍경 하나. 요새 와서 부쩍 ‘자기연민’이 많아졌다. 나이 들어간다는 증좌이리라. 육체적 힘이 쇠잔해지고 살 날이 그만큼... 2021-01-15 | 
| 1782  5·18기념재단 전보 인사 진행 5·18기념재단 내부 전보 인사가 1월 11일 진행됐다. ▲ 이기봉 사무처장은 재신임되었다.▲ 2020년 1월 13일부터 교육문화부장으로 근무한 광주광역시 하강삼 사무관은 고백과증언센... 2021-01-15 | 
| 1781  2021 광주인권상 수상자, 태국 인권변호사 ‘아논 남파’ 광주인권상 ‘아논 남파(Anon Nampa, 태국)’특별상 ‘워치독 다큐멘터리 메이커(Watchdoc Documentary Maker, 인도네시아)’ 2021광주인권상 수상자로 태국 인권... 2021-01-14 | 
| 1780  - 2019.9.23. 제네바 유엔UN본부 ‘5·18정신을 통한 정의실현’ 포럼 유엔(UN), 이행기 정의 ‘역사 기념활동’ 인정 유엔(UN, United Nations, 국제연합) 2020년 제45회 유엔인권이사회 정례보고서에서 ‘이행기 정... 2021-01-08 | 
| 1779  5월 단체,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로 새해 시작 5월 3단체(5·18민주유공자유족회·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5·18구속부상자회),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5·18기념재단은 1월 4일 오후 광주 북구 망월동 국립5·18민주묘지와 5·... 2021-01-08 | 
| 1778 ‘5‧18민주화운동과 미국 카터 정부의 역할’ 영어 강의 / Marcy L. Tanter(미국 텍사스 탈레톤 주립대학교 교수)A Consideration of the Carter Administrations Role in the Gwangju Uprising - Marc... 2021-01-08 | 
| 1777 5·18 악의적 왜곡 1월 5일부터 형사 처벌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지난 12월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법안은 1월 5일 관보 게재를 통해 공포됐다. 개정안이 공포되는 5일부터 5·18민주화... 2021-01-06 | 
| 1776  - United Nations SDG Action Campaign 지구촌 소통을 꿈꾸는 5·18- 5·18 세계 군사주의와 권위주의 방지의 날 제정운동에 대한 단상 송진호 / 한국국제협력단KOICA 상임이사 ‘역사하기... 2021-01-06 | 
| 1775  <오월을 잇는, 광주여성단체활동사> 발간- 광주여성단체의 오월 활동을 담아 5·18 40주년을 맞이하여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과 5‧18기념재단이 광주여성단체의 오월활동을 담은 <오월을 잇는, 광주여성단... 2020-12-29 | 
| 1774 5·18 세계 군사주의와 권위주의 방지의 날 제정 캠페인 / 영문 웹진 메이진(Mayzine) 18호 발행 5·18기념재단은 5월 18일 “세계 군사주의와 권위주의 방지의 날(UDPMA)” 제정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해외 협력... 2020-12-29 | 
| 1773  전두환 회고록 민·형사 재판 성과와 남은 과제 집담회 5·18기념재단은 12월 29일(화) 오후 2시 5·18기념재단 오월기억저장소에서 전두환 회고록 민·형사 재판 성과와 남은 과제 집담회를 개최했다. 11...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