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기념재단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유튜브
  • 518tv
  • 통합검색

재단활동

HOME > 재단소식 > 재단활동
2413번 게시글
5ㆍ18 비경험 세대가 그린 오월의 여성들 (오월 서사 창작프로젝트 운영)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11-16     조회 : 494


5·18 비경험 세대가 그린 오월의 여성들 (오월 서사 창작프로젝트 운영)
- 5·18 비경험 세대, 20·30대 일반 시민 5·18과 여성을 주제로 단편소설집 출간 -



5·18기념재단(이사장 원순석)은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오월 서사 창작프로젝트를 운영하여 5·18 비경험 세대이자 20·30대로 구성된 다섯 분의 시민과 <오월의여성들> 단편 소설집을 출간하였다.

오월 서사 창작프로젝트는 2023년 5·18기념재단이 후원하고 책방 운영, 지역문화콘텐츠 제작 및 출판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파종모종’에서 기획하고 운영한 프로그램으로 5·18 비경험 세대가 광주의 5·18과 여성 서사를 주제로 다 각도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직접 단편소설을 창작하고 출간까지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단편소설집 <오월의여성들> 의 출간 과정은 올해 4월부터 참가자를 모집해 총 10번의 5·18민주화운동 강의와 창작 강의를 진행하였고, 강의는 총 25명 내외의 참가자가 수강 하였다. 이후 총 5명의 참가자는 여러 차례 퇴고 과정을 거쳐 다섯 가지 이야기가 담긴 단편소설집 <오월의여성들>이 출간되었다.


 

 

5·18민주화운동 강의(5·18 전반)

5·18민주화운동 강의(5·18과 여성)




또한 지난 11월 6일 광주광역시 동명동에 위치한 ‘책과생활’ 독립서점에서 <오월의여성들>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이날 총 다섯 분의 작품 창작자가 모두 자리에 참석하였다.


<오월 서사 창작프로젝트 참여 시민 작가>
- 김찬비(사시, 나무),  윤이세(반지),  성경(유빙),  김차차(도화선),  이가현(아무것도 없는 도시) -


다섯 가지 이야기는 시대와 내용 모두 달랐고, 작품을 만들어낸 다섯 시민 작가 또한 사는 곳, 나이, 직업 모두 달랐다. 하지만 모두 5·18과 여성을 주제로 책을 쓰고 표현하고 이야기하고 싶은 마음은 똑같아 보였다. 

사업에 참가한 <아무것도 없는 도시>를 쓴 ‘이가현’님은 사업에 참여하고 작품이 나오기까지 5·18, 여성, 글쓰기 등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자유롭게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공부할 수 있던 점이 좋았다고 전하였고, 유빙을 쓴 필명 ‘성경’님은 학교 선생님이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미래에 정말로 선생님이 된다면 아이들에게 5·18에 대해 조금은 부끄럽지 않게 교육할 수 있을 것 같아서 큰 숙제를 하나 끝낸 것처럼 안도감이 든다고 소감을 전하기도 하였다.

 

 

<오월의여성들> 출판기념회 1

<오월의여성들> 출판기념회 -2




출판기념회를 마치며 작가이자 사업 운영진인 ‘H’님은 5·18 비경험 세대인 참가자들이 ‘감히의 잣대’에 굴하지 않고 광주의 오월을 쓰고 맺어준 것에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하였다 또한 책자 속 작품의 배치 순서에 비밀이 있다고 전하면서 책을 다 읽으면 그 이유를 알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오월 서사 창작프로젝트에서 추진한 첫 번째 사업 <오월의여성들> 단편 소설집은 전국 오월서가에서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으며, 추후 SNS를 활용한 이벤트를 통해 신청자에게 기념품과 함께 발송될 예정이다. 




                       <오월의여성들> 책 표지



※ 파종모종 홈페이지 : https://smartstore.naver.com/pasonmoson
※ 파종모종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pasonmoson/
※ 5·18기념재단 홈페이지 : https://518.org/nmain.php
※ 전국 오월서가 현황 : http://edu.518.org/sub.php?PID=0201
첨부파일


2413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 중간보고 회의 개최
다음글 “진실을 알리는 자, 세상을 바꾼다” 2023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수상자 내한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