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기념재단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유튜브
  • 518tv
  • 통합검색

재단활동

HOME > 재단소식 > 재단활동
2401번 게시글
오월, 광주에서 보내는 안부 "오월안부엽서"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10-10     조회 : 530

오월, 광주에서 보내는 안부 오월안부엽서

 

오월안부프로젝트5·18을 알리고 기억하는 작업을 하고 싶었던 김지현 작가(공공활동기획자)의 고민에서 시작해, 2017년 그 시작을 알린 프로젝트였다. 광주에서 살아가며 마주친 많은 것들에 대한 고민, 광주에 산다는 것과 오월을 함께 살아내는 것에 대한 생각들이 이어져 오월안부엽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안부를 곳곳으로 전하는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엽서에는 19805월에 존재했던, 그리고 오월을 함께 지켜본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으려 노력했다. 옛 전남도청 앞 회화나무, ‘전라남도청현판, 수창초교 육교, 전일빌딩 등. 윤연우 작가의 손을 통해 엽서 이미지로 제작하였다. 또한 2008년 당시 옛 전남도청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은 김향득 작가의 오월의 봄도 엽서에 담았다.


 

 


김 작가는 지역의 상징적인 장소들이 자본의 논리에 속절 없이 사라지는 걸 계속해서 목격해왔다.”며 엽서를 통해 광주 곳곳의 장소들이 가진 시간성을 드러내고 시간의 목격자를 다시 호명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엽서가 전달되는 동안 부칠 수 없는 엽서도 모였는데, “오월 영령에게”, “당시 시민군에게”, “전두환에게”, “유가족에게등 받는 이는 또렷이 적혔으나 다만 부치지는 못했던 엽서들이었다. 김 작가는 <부치지 못한 안부들> 전시(2018~)를 통해 그 마음을 나누고, 2020년 낭독프로젝트도 진행하였다.

 

 

5·18기념재단은 20205월부터 김지현 작가와 뜻을 같이하여 광주를 방문하는 많은 사람들이 안부를 전할 수 있도록 노력했고, 그 결과 20238월까지 약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천 여 건(국내 1,707, 국외 327)의 엽서를 전달 할 수 있었다. 5·18기념재단과 함께 진행한 프로젝트는 마무리되나, 앞으로도 매년, 누군가의 안부를 담은 엽서가 광주에서 보내진다. 엽서를 쓰는 한 명 한 명이 광주의 오월을 알리는 주체라는 생각으로 오월안부프로젝트는 여전히 더 깊게 뿌리를 내리며 여정을 이어갈 예정이다.

 

오월안부프로젝트 : http://greetingsfromgwangju.creatorlink.net/

- 기획 김지현 / 그림 윤연우 / 사진 김향득 / 설치 김자이

<부치지 못한 안부들> 낭독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BU0gyLE9bY4

첨부파일


2401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5·18 이후의 5·18 / 공동학술대회 개최(9.22)
다음글 오월학교(교사 및 교육활동가) 자유연수 운영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