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기념재단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유튜브
  • 518tv
  • 통합검색

재단활동

HOME > 재단소식 > 재단활동
2395번 게시글
과거사 기념사업 7개 단체,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 워크숍 진행(8.31~9.1)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09-12     조회 : 508

- 경남대학교(2023-8-31) 

 

 

과거사 기념사업 7개 단체,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 워크숍 진행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대표하고 올바른 과거사 정리에 힘쓰는 과거사 기념사업 7단체 임직원 1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워크숍은 지난 8월 31일부터 양일간 경남 창원시 일원에서 진행됐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올해 5월 연석회의 후 첫 워크숍에 참여했다.

 

▲5·18기념재단(광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왕), ▲제주4·3평화재단(제주), ▲노근리국제평화재단(충북),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부산·마산),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부산),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정읍)

 

네트워크 회원들은 부마민주항쟁 사적지(경남대학교 교정, 부마민주항쟁항쟁 시원석)와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등을 탐방했다. 단체별 상견례에 이어 단체별 사업 내용을 공유하고 연대 방안을 논의했다. 기념사업 단위별 업무협업 공유 네트워킹 회의도 진행됐다.

※ 분야: 대표자, 학술·사료·연구소, 교육, 기념행사, 경영지원, 홍보

 

네트워크 단체는 올해 하반기부터 사무처장단 회의를 정례화(연 2회) 하여 기념사업 협업 공유, 헌법 전문 민주주의 정신 수록 진행사항 등을 공유하기로 했다. 2024년 네트워크 워크숍은 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한다.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는 2012년 교류협정 체결 이후 기관 간 경험과 자원 교류, 정보·출판물 교환, 인적자원 육성기회 제공, 민주평화인권의 진전을 위한 공동 노력·사업 추진을 목적으로 한다.

 

※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 참여단체

▲5·18기념재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주4·3평화재단, ▲노근리국제평화재단,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대만 2.28사건기금회, ▲대만 국가인권박물관 준비처, ▲일본 오키나와 평화기념자료관,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 

 

 

 

 

 


 

 

 

 

 

제주4·3평화재단은 창작오페라 <순이삼촌> 공연을 네트워크 단체 지역(창원, 광주 등) 재공연 제안했다. 현기영 소설 원작, 총 4막으로 이뤄진 오페라 <순이삼촌>은 1948년 제주 조천면 북촌리에서 벌어진 토벌대의 집단 학살로 아이를 잃은 어머니의 슬픔을 표현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2024년 동학농민혁명운동 130주년 기념식(5.11.)에 네트워크 단체 참석을 제안했다. 유네스코는 5월 1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집행이사회에서 신청한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록물’과 ‘4·19혁명 기록물’ 2건의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등재를 최종 승인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측은 앞서 두 기록물에 대해 등재를 권고한 바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1894∼1895년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당시 조선 정부와 동학농민군, 농민군의 진압에 참여한 민간인, 일본공사관 등이 생산한 다양한 기록을 아우른다.이번에 2건의 기록물이 모두 등재되면서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은 총 18건으로 늘었다. 한편,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2011년 등재됐다.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소장 및 관리기관

 

- 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육군본부, 5·18기념재단, 국회도서관, 미국 국무성, 국방부국가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소장

- 군사법기관재판자료, 김대중내란음모사건자료:육군본부 소장

- 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 선언문, 취재수첩, 일기:광주광역시 소장

- 흑백필름, 사진:광주광역시, 5·18기념재단 소장

- 시민들의 기록과 증언:5·18기념재단 소장

- 피해자들의 병원치료기록:광주광역시 소장

- 국회의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규명회의록:국회도서관 소장

- 국가의 피해자 보상자료:광주광역시 소장

- 미국의 5·18 관련 비밀해제 문서:미국 국무성, 국방부 소장

 

 

 


 


첨부파일


2395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5·18기념재단 2023년 하반기 임직원 워크숍 및 제3차 이사회 개최
다음글 5·18 사적지 안내 해설사 ‘오월지기’, 명절맞이 사적지 일대 봉사활동 진행하다!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