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5·18기념재단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유튜브
  • 518tv
  • 통합검색

재단활동

HOME > 재단소식 > 재단활동
2378번 게시글
태국 민주주의 현장에 가다! 2023 5·18아카데미(국내활동가) 국외연수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08-03     조회 : 558

 



태국 민주주의 현장에 가다!

<2023 5·18아카데미(국내활동가) 국외연수>


5·18아카데미(국내활동가) 국외연수가 723일부터 29일로 67일간 태국에서 진행됐다. 올해 연수단은 전국 다양한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 8, 재단 인솔 직원 4명으로 이뤄졌다. 그동안 협력과 연대 관계를 유지해왔던 태국 현지협력단체인 태국시민권리증진재단(People’s Empowerment Foundation,PEF)과 함께 기획, 추진했다.


 

이번 2023 5·18아카데미(국내활동가) 국외연수는 시민사회의 국제연대라는 주제로 성되. 23일 인천공항 출국 후 둘째날인 24일은 태국의 정치역사와 이행기정의, 태국 헌법 및 국가폭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강의를 듣는 일정으로 시작했다. 또한 태국 남부 이행기정의에 관한 다큐멘터리 시청 및 감독과의 담화 시간을 가졌다. 이를 통해 앞으로 방문할 단체와, 태국의 정치와 역사를 비롯해 태국 민주화의 현주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졌다.

 



셋째날(25일)은 둘째날 강의를 바탕으로 태국 민주화운동의 현장인 탐마삿 대학교, 라자담넌 거리 그리고 1014일 민주주의 재단을 방문했다. 탐마삿 대학교 안내를 맡은 찬윗 카셋시리 탐마삿 대학교 전총장은 한국은 5·18을 경험했기 때문에 우리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더욱 태국의 민주화를 위해 함께 지지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시암 박물관에서 태국인 해독(Decode Thainess)’를 주제로 한 전시를 관람했다.



이후에는 입법 변화 참여 요구를 향상을 통해 사회 개혁을 도모하는  아이로우(i-Law)와 태국 인권변호사협회(TLHR), 반정부 시위대 탈루파(Talufah)와의 만남을 차례로 가졌다. 연수단은 다양한 단체들을 만나며 태국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지키기 위한 단체들의 노력과 태국의 현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

 

 



연수 넷째날(26일), 오전에는 진보운동재단을 방문하여 최근 총선거 상황 관련해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제안한 정책들에 대해 경청하는 시간을 가졌다. 태국의 국회의사당을 방문해 쁘라차랏당의 사무총장과 짧은 간담회 후 국회의장을 대면했다. 완너 국회의장은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아 앞으로 한국의 정치상황에 대해서도 알아가고 싶다며 한국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이후 전진당 국회의원들을 만난 참가자들은 각자 가지고 있는 태국 정치상황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오후에는 티라윳 뮬윌라이 B-Floor극단 공동 예술 감독을 만나 간담회를 가지며 예술을 통한 민주화에 대한 갈망을 엿볼 수 있었다.



연수 다섯째날(27일)에는 태국 국가인권위원회와의 만남을 통해서 국가인권위원회의 구성 및 역할, 인권 침해 현황에 대해 배웠다. 오후에는 아유타야로 이동해 왓 마하탓(Wat Mahathat) 사원을 방문하여 유적지를 둘러보며 일정이 마무리 됐다.




여섯째날(28일) 오전에는 차오 쌈 프라야(Chao Sam Phraya)박물관의 전시를 통해 아유타야의 전성기 시절 유물들을 관람했다. 이후 파타야로 이동하여 아시아 최대규모 정원인 농눅빌리지(Nong Nooch Village)를 관람했다.

 

연수 마지막 날인 29일은 태국 문화탐방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태국의 상징적인 동물인 코끼리가 있는 엘리펀트 빌리지(Elephant Village)를 방문하고 이후 약간의 자유시간을 가진 후, 모든 일정이 마무리 됐다.

 


이번 2023 5·18아카데미(국내활동가) 참가자 중 한명인 김동석 부마민중항쟁기념재단 학술·기념사업팀장힘든 정치상황이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열심히 활동하는 태국 청년들을 보면서 더 열심히 살아가야겠다고 다짐하게 됐다고 참여 소감을 밝혔다. 한편,5·18기념재단은 전국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에게 민주주의와 인권의 현장을 직접 방문함으로서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고 활동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며, 5·18정신을 알리기 위한 5·18아카데미(국내활동가)를 2000년도부터 추진해오고 있다.

첨부파일


2378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5·18 시민 대토론회 <시민이 말하다> 개최 (2023.7.22.)
다음글 제3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힌츠페터, 그 사람을 알고 싶다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