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기념재단 소식지 <주먹밥> 62호 발간 | |
|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05-24 조회 : 492 | |
![]() 5·18 웹툰, 시민참여이벤트, 재단 직원·시민·작가·기부자 인터뷰를 통해 새롭게 접근한 5·18기념재단 소식지 <주먹밥> 62호 발간 5·18기념재단은 소식지인 <주먹밥> 62호를 5월 15일 발간한다. 62호에서는 기존에 있던 콘텐츠에 5·18 웹툰을 더하여 새로운 시도를 함과 동시에, 기부금 납부자, 문학상 수상자, 시민, 직원 인터뷰 코너를 기획하여 풍부한 읽을 거리를 다뤘다. 또한, 재단 사업 성과, 향후 사업 방향과 내용을 홍보하는 것에 더하여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연구, 기념사업 등 주요 이슈를 공유한다. 5·18민주화운동이 일상 속에서 기억하고 공유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담아냈다.
<오월여행>에서 ▲정원선 에세이스트의 서서평 이야기를 담은 “묘비명 없음” 에세이를 시작으로 ▲주보람 음식블로거의 “광주 사람의 맛있는 광주 여행”을 통해 광주의 숨은 맛집을 소개하였으며 ▲정원선 에세이스트의 CITY TOUR “길 잃기의 안내서 양림동 두홉길 따라 걷기”에서는 이미 잘 알려진 양림동을 새로운 시선에서 들여 볼 수 있다. ▲박준 작가의 “신화와 난민의 백색 도시, 아테네”를 통해 ‘신화’의 도시 아테네에서 ‘난민’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다.
<오월의 창>에서 5·18 사적지 여행에 관한 견해를 담은 ▲김형중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5·18과 다크 투어리즘‘ 오월의 계절을 담은 ▲김종기 부산대 불어교육과 교수의 ”청춘, 기억 하나, 붉은 철쭉꽃처럼...“ 마지막으로 62호 특집 기사로 기획된 ▲한상진 뉴스타파 기자의 ”전두환의 범죄, 전우원의 사과 그리고 남은 과제’에서는 전두환 일가의 부정 축재 재산과 함께 이를 추징할 수 있는 ‘전두환 3법’ 논의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넘어 + 너머>에서는 국제사회에서 높아지고 있는 한국의 역할 수행을 위한 민주주의·인권 이슈를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2023 광주민주포럼 소개를 담은 ▲5·18기념재단 글로컬센터 홍유정 팀장의 “2023 광주민주포럼 인권옹호자와 연대하다”를 시작으로 재단에 정기적으로 기부하는 이들을 만나 커피와 함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이비 여행작가의 “만나고 싶었어요!”. 2023 광주인권상 본상 수상자인 초우 항텅씨와 한국의 인연을 소개하는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사무국장의 “옳다고 믿는 것을 행하는 사람, 초우 항텅”을 만날 수 있다. 이어서 광주인권상 특별상 단체의 이야기를 담은 ▲CCITTA 국제관계 대표 시바 아멜리라드(Shiva Amelirad)의 “이란교사노조위원회 (CCITTA)”를 통해 필수적인 인권으로 교육을 장려하며 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볼 수 있다.
<살롱 드 오일팔>에서는 ▲<영화가 우리를 데려다 주겠지>의 저자 박준의 영화이야기인 “우리들의 아이, 소희> ▲정여울 작가의 북에세이, “나도 몰라던 나, 더 크고 깊은 무의식을 발견하다”를 마지막으로 기성세대와 함께 MZ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새롭게 기획한 웹툰 ▲시기 만화작가의 ”5·18민주화운동 MBTI툰“을 통해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다. 이어서 ▲양초록 만화작가의 ”#5·18민주화운동 #꽃을피워드릴게요“편은 시민들이 직접 화분을 받아가 꽃을 피워 5·18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시민참여프로젝트로 주먹밥을 지참하여 5·18기념재단 및 5·18민주화운동 기록관 1층 오월길방문자센터를 방문하면 1인 1개 수령이 가능하다. 꽃이 핀 사진을 SNS 인증하여 소정의 기념품도 증정할 예정이다.
<재단소식>에서는 5·18기념재단에 대한 인식과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한 시민들의 생각을 알기 위해 기획한 ▲5·18기념재단 기획홍보실 주보람 “시민을 만나다” 이어서 5·18기념재단에 근무하고 있는 차종수 부장의 인터뷰가 담긴 ▲조은영 편집장의 “진실을 찾기 위해서라면 지구 끝까지” 마지막으로 5월 행사와 관련된 소개를 담은 ▲5·18기념재단 “5·18문학상”, “2023 광주인권상 시상식”, “2023 광주민주포럼 개최”, KBS와 TBS 채널을 통해 만나는 “방송과 전시”, 새로운 오월길 신규 코스를 소개하는 “오월길 광주천 코스”를 통해 재단의 소식과 주요 행사를 만나볼 수 있다. 주먹밥은 5·18기념재단 유관기관, 전국 오월서가, 오월길방문자센터 등에 배포되며, 5·18기념재단 및 공식홈페이지-주먹밥 Web PDF에서 온라인으로 열람도 가능하다.
※ 소식지 <주먹밥>을 만날 수 있는 전국 <오월서가> 리스트 확인(클릭) ※ 62호 <주먹밥> 온라인 열람이 가능한 5·18기념재단 홈페이지(클릭) ※ KBS 채널을 통해 만나는 "로숑과 쇼벨" 영상 확인(클릭) ※ TBS 채널을 통해 만나는 "마흔세 살 오일팔" 영상 확인(클릭)
* 편집장 : 조은영 * 편집 및 교정 : 박준, 조은영 * 표지 디자인 : 이승연 * 내지 디자인 : 이승연, 이승희
2003년 5월 창간한 이후로 현재 62호까지 발간된 5·18기념재단 소식지 <주먹밥>은 다양한 5·18 담론을 정리하고 재단 및 5·18 관련 소식을 전하고, 시민들과 함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전하고 있다. ※ 구독 문의 : 5·18기념재단 기획홍보실 주보람 062)360-0524
|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광주의 이름으로 해외 민주·인권 운동 지원 시작, 5·18 광주민주기금 |
|---|---|
| 다음글 | 5·18 민주화운동 제43주년 추모제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