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SNS서포터즈

HOME > 알림·홍보 > SNS서포터즈
6번 게시글
[2023 5·18기념재단 SNS 서포터즈] 5·18 주먹밥과 함께하는 광주 양동시장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04-30     조회 : 285


 

안녕하세요. SNS 서포터즈 아로미입니다. 이번에는 5·18 주먹밥과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110년의 역사를 간직한 호남 최대의 전통시장 양동시장에는 커다란 주먹밥 모양의 조형물이 있습니다. 이 주먹밥은 2020년 5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상권 르네상스 사업의 하나로 추진돼 세운 조형물로 5·18민주화운동 당시 양동시장에서 시민군을 위한 주먹밥 나눔이 이루어진 것을 상징하기 위해 설치한 것입니다. 햇빛이 비칠 때마다 5·18 주먹밥이 유난히 반짝이는 게 느껴집니다. 지나가는 이들도 한번씩 고개를 들고 쳐다보게 됩니다.

 

 

 

주먹밥 조형물은 양동시장역 1번 출구로 나와 양동복개상가 왼쪽 정육점 앞에 자리하고 있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5·18 주먹밥과 양동시장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분들은 저 큰 손에 담긴 공은 무슨 의미일까 궁금해집니다. 5·18 당시 양동시장 노점상인들은 시민군들에게 주먹밥을 몰래 나누어 주며 큰 힘을 보탰습니다. 

 

5·18 주먹밥과 함께하는 광주 양동시장 너무 멋진 스토리가 숨어 있었군요!




 

5·18 주먹밥 조형물은 광주 정신을 담은 주먹밥과 따뜻한 마음을 담은 평화와 화합의 손을 모티브로 주먹밥을 움켜쥔 손이 포인트입니다. 주먹밥 조형물을 찬찬히 살펴보면 주먹밥 쌀알을 5·18 숫자까지 동일한 패턴의 타공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조형물 아래에 금동으로 주먹밥 스토리라인을 제작하여 5·18의 역사적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 있습니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양동시장에서 노점을 운영하던 노점상들은 시위에 나가는 학생들이 차에서 물 좀 달라, 배가 고파 죽겠다 하는 소식을 듣고 빵과 함께 물을 건네주었는데 그 수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결국 상인들은 십시일반 돈을 걷어 밥을 해주면서 주먹밥 전달을 시작하였습니다.

 

 


 

지금도 양동시장에서는 5월 18일이 되면 주먹밥 재현 행사를 펼치고 있습니다. 43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지만, 모두가 합심해서 주먹밥을 만들었던 당시의 긴박했던 순간을 기억하는 상인들도 남아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줄 주먹밥을 만들면서 급한 마음에 소금 간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김 한장만으로 밥을 감싸기도 했지만, 학생들은 이 주먹밥을 허겁지겁 먹었다고 합니다. 그들에게 주먹밥은 생명줄과도 같은 한 끼가 아니었을까요?

 

 


 

시장을 오가는 사람들이 많은 거리에 설치된 조형물에 당시의 상황이 고스란히 남아있습니다. 당시만 해도 시위를 하는 학생들에게 주먹밥을 만들어주는 사람들을 가만두지 않겠다는 소문이 나돌았다고 합니다. 그러한 상황에서도 상인들은 동생이나 자식과 같은 학생들을 그냥 못 본 채 지나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양동시장 상인들이야말로 5·18 대동정신을 실현한 분들이라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5·18 주먹밥과 함께하는 광주 양동시장

호남 최대의 전통시장인 양동시장을 방문하며 5·18민주화운동 당시 펼쳐진 나눔 정신을 되새기는 주먹밥 조형물이 있어 뿌듯했습니다. 광주하면 생각나는 음식 중 하나가 바로 이 주먹밥인데요. 세월이 흘러 광주광역시는 광주만의 특별함을 담은 주먹밥을 광주 대표 음식으로 선정해 브랜드화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양동시장에서 만든 7색 5·18 주먹밥도 한때 주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양동시장은 5·18민주화운동 사적지 제19호입니다. 양동시장 주먹밥 조형물 옆에는 5·18 사적지임을알리는 표지석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에게 주먹밥을 만들어 나눠주던 상인들의 이야기는 지금도 모든 이의 가슴을 훈훈하게 만듭니다. 양동시장을 방문한다면 푸른 하늘을 향해 높이 뻗어 있는 5·18 주먹밥 조형물도 꼭 만나보고 가시길 바랍니다.

 

 


 

첨부파일


6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2023 5·18기념재단 SNS 서포터즈] 발대식 및 광주 답사 후기 2편
다음글 [2023 5·18기념재단 SNS 서포터즈] 5·18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명령은 누가 했을까?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