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5·18기념재단 SNS 서포터즈] 발대식 및 광주 답사 후기 1편 | |
|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04-28 조회 : 251 | |
|
안녕하세요. 5·18기념재단 SNS 서포터즈 1기로 선정된 전민창입니다.
오늘은 재단 서포터즈로서 첫 발을 내디뎠던 발대식 참여 후기와 광주 답사 소감을 써볼까 합니다. 우선 5·18기념재단 서포터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5·18기념재단 서포터즈란? 현재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가치 함양과 더불어 인류의 인권 가치 증진에 힘쓰고 있습니다. 광주인권상과 힌츠페터 국제보도상을 제정해 국경을 불문하고 민주·인권 가치를 드 높인 인물을 기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단의 글로벌화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시민 여러분의 뜨거운 관심과 참여가 요구됩니다.
서포터즈는 시민 개인이 민주정신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활동이라 생각합니다. 선정기준은 화려한 글솜씨를 지닌 사람이나 혹은 파워블로거가 아닙니다. 저처럼 글쓰기 실력이 부족하더라도, 또한 파워블로그가 아니더라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과 민주인권의 가치를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도전하실 수 있습니다.
평소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을 가졌거나, 한국 현대사에 흥미를 느끼신 분들이라면 내년에 도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서포터즈 자기소개서 작성법 관련 글도 써보겠습니다.
![]() ![]()
이번 서포터즈는 저를 포함하여 총 7명이 선발되었습니다. 구체적인 활동은 5월부터이나, 서포터즈 활동과 관련하여 가이드를 안내 받고 서로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대식은 4월 23일 일요일 5·18기념재단 오월기억저장소 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일정을 맞추느라 부득이하게 일요일에 진행되었습니다. (제 일정으로 인해...)
활동 가이드 안내 이후, 굿즈를 왕창 나누어주셨는데요. 굿즈를 받고 나서 이래서 다들 서포터즈 하는가 보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어떻게 하면 재단의 소식을 잘 전달할 수 있을까, 5·18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하면 좋을까 고민하고 있었는데요, 담당자 선생님께서 제시해준 가이드라인 덕분에 어느 정도 틀을 짜볼 수 있었습니다.
![]()
- 오월기억저장소 전시 관람 - 시간이 조금 남아서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오월기억저장소 기획상설전시를 관람하였습니다. 공간이 협소해서 많은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내용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크게 보자면 네 개의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1. 5·18민주화운동의 역사 2. 광주인권상 제정과 수상 현황 3.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수상 현황 4.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저는 광주인권상이 특히나 흥미로웠습니다.
![]() ![]() 광주인권상을 받은 사람들을 살펴보니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는데요, 바로 비유럽권 출신이라는 점입니다. 궁금해서 재단 관계자 선생님께 여쭤봤습니다. 광주인궝상의 취지 자체가 "인권상을 받지 않은 인물 중에 평화를 위해 힘쓴 인물과 단체에게 주는 것"이라고 하더라구요. 수상자 대부분이 미얀마, 라오스, 태국 사람들인 것도 여기에는 인권상이 적거나 없다고 합니다. 따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평화를 위해 기여한 사람이면 됩니다. 국내를 넘어서 인류 보편의 인권과 민주가치를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재단의 노력에 새삼 대단함을 느꼈습니다.
올해 광주인권상 시상식은 야외행사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식순은 1부 본식(시상행사)와 2부 축하공연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 속에서 국제사회의 협력과 연대에 대한 광주의 의지를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 시간되시는 분들은 한번 보러 가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2023년 광주인권상 시상식 행사 일정 안내 - - 일시 : 2023년 5월 18일 오후 7시 - 장소 : 5·18민주광장 특설무대 (야외무대) - 문의 : 5·18기념재단 5·18글로컬센터 062-360-0534
참고로 수상자 발표는 5월 2일 화요일 오전 11시 오월기억저장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된다고 합니다.
![]()
광주인권상에서 흥미로운 부분을 발견했는데요. 그것은 바로 수상철회와 관련된 것입니다.
광주인권상 수상철회도 가능할까? 2004년 광주인권상 수상자인 아웅산 수치의 수상철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저는 아웅산 수치를 미얀마 민주화운동의 상징으로만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2018년에 미얀마 정부가 로힝야족을 대상으로 인종학살을 벌였는데도 아웅산 수치는 그것을 방관하고, 무시했습니다. 이에 대해 재단은 기자회견을 열어 아웅산 수치의 수상철회를 감행하였습니다.
재단 위원회에 따르면 "이같은 결정이 미얀마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적 지위를 가진 아웅산 수치가 국제적으로 공분을 사고 있는 미얀마 거주 로힝야에 대한 박해와 인권유린을 중지하기 위한 아무런 행동을 취하고 않고 있는데 대한 재단의 항의성 의지표명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재단이 광주인권상을 어떻게 대하는지 잘 알 수 있는 대목이었습니다.
단순히 일회성으로 보여주기식의 상이 아니라 인권 가치 함양의 지속가능햠을 염두에 둔 처사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인권의 상승과 평화의 도래가 단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합니다. 평생에 걸쳐서, 후대에도 그 가치와 역사성을 간직하고 계승해야 하는 것입니다. 맛있는 점심식사를 하고, 국립5·18민주묘지에 다녀왔습니다. 묘지 참배와 관련해서도 이야기할 게 한 보따리라서 다음 글에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
|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2023 5·18기념재단 SNS 서포터즈] 아이들과 읽기 좋은 5·18 도서 - <오늘은 5월 18일>, <운동화 비행기> |
|---|---|
| 다음글 | [2023 5·18기념재단 SNS 서포터즈] 발대식 및 광주 답사 후기 2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