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재단활동

HOME > 알림·홍보 > 재단활동
2452번 게시글
2024 <민주역사 교육활동가 양성> 교사연수 1차(5·18) 운영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4-04-22     조회 : 170
2024 <민주역사 교육활동가 양성> 교사연수 1차(5·18) 운영

- <5·18기념재단>,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 5·18주제 교사연수 운영
- 4. 27. 2차 <민주역사 교육활동가 양성> 교사연수 운영 예정(5·18주제)


‘5‧18기념재단’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는 광주,전남지역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4월 20일 10:00부터 16:30까지 5·18사적지(옛 전남도청 일대)에서 <민주역사 교육활동가 양성> 1차 교사연수를 진행했다. 

<민주역사 교육활동가 양성> 교사연수는 5·18기념재단 등 5개 단체(5·18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제주4·3평화재단,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가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본 프로그램을 통해 5·18민주화운동 등 다양한 민주화운동의 가치를 연결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모델을 창출할 예정이다.

1차 연수 프로그램은 5·18 특강, 주요 사적지 답사, 참가자 실습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5·18 사적지 해설 능력 및 5·18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고민하고 실행할 수 있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번 교사연수는 ‘전일빌딩245’ 중회의실에서 서부원 교사(광주 살레시오고)의 5·18민주화운동 특강으로 시작하였다. 특강은 5·18 전후의 대한민국 상황을 함께 이야기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5·18의 현재적 의미를 찾아서 수업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강연에 이어 교사들은 조별로 5·18민주화운동 사적지 ‘5·18민주광장’으로 이동해 

금남로 일대 사적지(전일빌딩245,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옛 전남도청 등)를 모두 답사하였다.

답사 중 한 참가자는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이 5·18 왜곡 사실들을 많이 질문한다, 그럴 때마다 나조차도 말하기가 어려웠는데 실제 장소를 와서 교육을 받아보니 더 이해가 잘 되는 것 같다 다음에 아이들이랑 같이 체험활동을 계획 해봐야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재단은 이번 연수 신청자를 대상으로 앞으로 남은 <민주역사 교육활동가 양성> 교사연수 4회 모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지원하고, 3회 이상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5·18기념재단 인증 ‘민주역사 교육활동가’로 위촉할 예정이다. 

 

또한 위촉된 교사는 향후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로 지원할 예정이며,

향후 연수 일정은 5·18민주화운동 연수 1회(광주 4.27.), 동학농민운동 연수 1회(정읍 6.22. ~ 23.), 부마민주항쟁 연수 1회(부산 9.28. ~ 29.), 제주4·3 연수 1회(제주 11.15. ~ 17.)로 예정되어 있으며, 연수마다 민주화운동 특강, 사적지 및 기념 공간 답사, 해설 실습, 주제별 사회공헌 활동 등이 함께 진행된다.




※ 오월학교 홈페이지 : http://edu.518.org/main.php

※ 문의 : 오월학교 : 062-360-0543

 

첨부파일


2452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법원, 5·18 왜곡 도서 발간한 지만원에게 손해배상 등 판결
다음글 광주의 이름으로 해외 민주·인권 운동 지원: 2023 5·18 광주민주기금 결과보고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