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조사위 17개 조사보고서 공개, 최종 발포 책임자 진상규명 불능 결정. 그리고... | |
|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4-04-05 조회 : 426 | |
|
- 5·18조사위보고서 평가 및 기자 간담회 / 2024-3-25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
5·18조사위 17개 조사보고서 공개 최종 발포 책임자 진상규명 불능 결정. 그리고...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4년(2019.12.27.~2023.12.26.) 조사 활동이 담긴 17개 조사보고서가 모두 공개됐다. 진상규명(11건), 진상규명 불능(6건). 개별 보고서 초안에는 이미 법원에서 사실로 확정됐거나 정설로 자리 잡은 사안까지 추가 조사가 필요한 것처럼 작성되어 우려와 비판을 받았다.
5·18조사위원회는 특별법에서 정한 진상규명 범위에 따라 21개 직원조사 과제를 선정했었다. 비슷한 유형의 조사과제 4건을 병합하면서 최종 17건의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중 15건은 2월 29일 공개, 나머지 2건(▲성폭력, ▲북한군 침투설)은 개인정보 삭제 등 이유로 4월 2일 공개됐다. 진상규명 과제 중 가장 중요한 과제는 최종 발포 책임자를 밝히는 것이었다. 사망한 전두환이 당시 계엄군의 집단 발포 등에 주도적 역할을 한 정황과 진술은 나왔다고 한다. 하지만, 발포 지시 등 최종 책임의 확증은 찾아내지 못했다. 조사위 발표 진상규명 불능 결정 과제는 다음과 같다. ▲발포 경위, ▲은폐·왜곡·조작, ▲무기고 피습, ▲전투기 출격대기, ▲군·경 피해, ▲희생자 암매장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결과보고서(자세히 보기 클릭)
5·18조사위는 보고서 초안에 규명 불가능 사유를 담았고 전원위원회 회의 속기록도 누리집에 게시했다. 표결로 진행한 진상규명 의결 당시 찬반 투표 위원의 실명도 밝혔다. 개인의 피해신고를 조사한 신청사건은 모두 214건으로 규명 85건, 일부 규명 3건, 불능 26건, 각하 41건, 기각 9건, 취하 48건, 반려 2건으로 처리했다.
2023년 12월 26일 공식 조사활동을 마친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직권사건 및 신청사건 조사결과보고서에 불능사유, 소수의견, 보충의견 등을 작성하고 있다. 4월 15일까지 시민사회 의견을 수렴해 6월 26일까지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할 종합보고서를 작성할 예정이다. 문제는 보고서에서 오류가 발견되더라도 조사위 활동 시한이 2023년 말 종료돼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6월 26일까지 대국가 권고사항이 담긴 ‘종합보고서’를 정부와 국회 등에 송부 후 5·18조사위는 활동 종료·해산된다. 4년 간의 조사 기간 확보한 진술과 수집한 모든 자료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된다.
이에 광주 시민사회는 역사 왜곡 우려가 있는 보고서를 국가기록으로 남겨선 안 된다며 폐기를 요구하고 있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보고서 평가·기자간담회가 3월 25일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열렸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보고서 평가 및 기자간담회
○ 사회: 정다은(광주광역시의원, 5·18특별위원장)
○ 5‧18조사위의 개별조사보고서에 대한 민변 검토 의견서 - 김정호(前 민변 광주전남지부장) ○ 5‧18조사위 개별보고서에 대한 의견과 최종보고서에 대한 제안사항 - 박경섭(5·18기념재단 5·18진상규명자문위원) ○ 공동주최: ▲5·18기념재단,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찾아가는 전시 <그날의 애국가> 개최(송정작은미술관) |
|---|---|
| 다음글 | 법원, 5·18 왜곡 도서 발간한 지만원에게 손해배상 등 판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