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재단활동

HOME > 알림·홍보 > 재단활동
2433번 게시글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 결과보고회 개최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3-12-08     조회 : 295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 결과보고회 개최

 

일시: 2023. 11. 28.(화) 16:00~17:00

장소: 5·18기념재단 오월기억저장소 회의실

 

 

5·18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은 지난 11월 28일 5·18기념재단 오월기억저장소 회의실에서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 결과보고회를 개최하였다.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은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하였으며,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최정기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고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5인의 공동연구원을 중심으로 약 4개월간 작업이 진행되었다.

 

 

      (사진 설명: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 수행 결과 발표)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5·18기록물 중 구술기록을 영어로 번역하여 공유함으로써 5·18정신의 세계적 확산을 추진하기 위해 시작된 첫 번째 사업이다. 

 

연구팀은 1990년에 수집된『광주오월민중항쟁사료전집』활용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구술자료에 대한 검증 및 색인·해제 등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교육연구단이 1차 번역한 『Selected Oral Histories of the May 18 Gwangju Uprising』(2023)의 26인에 대한 구술 원문을 검토하고 구술 색인어 추출 작업을 시작하였다. 중간보고 회의를 거치며 2차 해제 대상자를 추가 선정하고 공통 색인어(인물, 장소, 사건, 용어)에 대한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등 해제 작업을 추진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검증 및 해제 대상 구술자는 41명으로 최종 확정되었으며 해당 구술원문을 검토하고 이를 검증하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공통 색인어를 확정하고, 선정된 구술자에 대한 해제문을 완성하였다.


연구팀은 구술 검증 및 해제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며 결과보고회를 마무리하였다. 사업 결과물은 추후 구술 번역 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검토 작업 후 제출될 예정이다.


   (사진 설명: 5·18구술기록 검증 및 해제 조사 사업 수행 결과 발표)

 

※ 사업 관련 문의) 5·18국제연구원(062-360-0573) 

 

첨부파일


2433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해외 5·18기념교류를 위한 독일 방문
다음글 전두환 비자금 회수 위한 「전두환 추징3법」 통과 촉구(성명서 포함)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