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 알림·홍보 > 보도자료
1270번 게시글
[보도자료 2023-102] 미얀마, 스리랑카 현지 청년 활동가 90%, ‘5·18민주화운동 사례 자국의 민주주의 및 인권 상황 개선에 필요’
글쓴이 : 5OO    작성일 : 2023-12-12     조회 : 422
  • 보도자료 2023-102호
  • 보 도 자 료
  • 2023년 12월 12일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
    전화 062-360-0518
    팩스 062-360-0519
  • The May 18 Foundation
    152 Naebang-ro Seo-gu Gwangju,
    61965, Republic of Korea
    Telephone +82-62-360-0518
    Fax. +82-62-360-0519
담당부서5·18기념재단 5·18글로컬센터책임자부장 박채웅 (062-360-0531)
담당자부원 유도은 (062-360-0536)

  

미얀마스리랑카 현지 청년 활동가 90%,

‘5·18민주화운동 사례 자국의 민주주의 및 인권 상황 개선에 필요

5·18기념재단, 5·18민주화운동과 재단에 대한 해외 활동가 인식도 조사 진행

 

 

 5·18기념재단은 지난 11월부터 네팔미얀마스리랑카인도인도네시아태국홍콩, 7개국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500여 명의 청년 활동가를 대상으로 전문여론조사기관 서던포스트와 함께 해외 인식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이번 인식도 조사는 5·18민주화운동과 재단에 대한 인식도 뿐만 아니라 자국의 민주주의·인권 수준에 대한 항목 등을 담고 있으며민주화 운동인권 증진제도 개혁국가 폭력 등의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현지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동안 5·18민주화운동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해 온 5·18기념재단은 광주인권상힌츠페터국제보도상, GNMP, 5·18아카데미광주민주포럼광주민주기금지원 사업 등 다양한 방면의 국제연대사업을 통해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와 5월의 가치를 확산하는데 노력해 왔다이번 조사는 재단 창립 30주년을 앞두고 국제화 사업에 대한 그동안의 성과를 점검하고 이후 나아갈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해 기획·추진하고 있다.

 

 조사 결과를 우선 집계한 미얀마와 스리랑카(2개국 총 140)의 경우응답자 140명 중 72.9%인 102명이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전체 응답자 중 절반이 넘는 50.7%는 ‘5·18기념재단에 대해 알고 있다고 밝혔다또한 5·18민주화운동 사례가 자국의 민주주의 및 인권 현황 개선에 활용 가능한지를 묻는 항목에 90%가 활용 가능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직 결과를 합산하지 않은 홍콩의 경우 홍콩 인권 변호사 초우항텅의 2023년 광주인권상 수상으로 인해 5·18민주화운동과 재단에 대한 관심과 인식도가 높아진 바 있어추후 발표될 최종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이러한 결과는 5·18기념재단이 2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국제적 이슈에 연대를 표명하며 국제 사업에 집중해 온 결과로, 5·18민주화운동 세계화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특히 아직도 민주주의와 인권이 위협받는 곳에 있는 이들에게 5·18민주화운동이란 앎을 넘어 절실함에 닿아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 이번 조사를 통해 얻은 소중한 자산이자 성과로 평가된다.

 

 해당 인식도 조사는 12월 중순 최종 결과를 산출할 예정으로추후 5·18기념재단이 국제 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있어 귀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별첨 1. 5.18기념재단 해외 인식도 조사

첨부파일


1270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보도자료 2023-101] [5ㆍ18사적지 어반스케치] 전시 개최 (12.11.~12.20.)
다음글 [보도자료 2023-103] 전두환 비자금 회수 위한 「전두환 추징3법」 통과 촉구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