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 알림·홍보 > 보도자료
1268번 게시글
[보도자료 2023-100] (성명서) 세계인권선언 75주년 기념 광주인권상 수상자 네트워크 성명서
글쓴이 : 5OO    작성일 : 2023-12-07     조회 : 404
  • 보도자료 2023-100호
  • 보 도 자 료
  • 2023년 12월 7일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
    전화 062-360-0518
    팩스 062-360-0519
  • The May 18 Foundation
    152 Naebang-ro Seo-gu Gwangju,
    61965, Republic of Korea
    Telephone +82-62-360-0518
    Fax. +82-62-360-0519
담당부서 5·18기념재단 5·18글로컬센터 책임자 부장  박채웅 (062-360-0531)
담당자 담당  김보형 (062-360-0534)

 

<세계인권선언 75주년 기념 광주인권상 수상자 네트워크 성명서>

 

 

세계 지도자들은 가자에서 벌어지는 인도주의적 위기를 중단할 있도록 개입하고 

국제법을 준수하라.

 

광주인권상 수상자인 우리는 가자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서안 점령을 깊이 우려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10 7 일어난 하마스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가자지구에6,000 이상 폭격을 가하는가 하면 무고한 어린이와 아기를 포함해 17,000 명을 살해했다.

  

생존권은 가장 기본적인 가치다. 생존권이 보장되지 않는 민주주의는 민주주의라 없다. 권리는 올해 12, 75주년을 맞이하는 세계인권선언에 명시되어 있다. 우리 광주인권상 수상자들은 유엔, 국제적십자사, 세계보건기구와 함께 국제법을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 민간 기반 시설에 무차별 폭격을 가하고 병원 등에 공급을 중단하는 행위로 사상 유례없는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중동 지역이 불안정해지고 강대국 간에 갈등이 생기면 정치 경제 부문에 엄청난 혼란이 닥치고 것이다. 국제 인도법은 분쟁 지역의 민간인, 언론인, 구호 의료 활동 종사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며 어떤 국가도 규정에서 예외가 되어서는 안된다. 

 

우리 광주인권상 수상자들은 위기가 갈등으로 확산해 끔찍한 결과가 초래되는 일이 없도록 세계 지도자들이 인도주의에 근거해 신속히 개입해 주길 촉구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아태 지역에서 계속되고 있는 인권 침해, 불처벌 사법적 괴롭힘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하는 바이다. 우리와 함께 광주인권상을 수상한 아딜루 라만 (방글라데시), 이란교사노동조합위원회(CCITTA),아논 남파(태국), 초우항텅(홍콩) 물론이고 동료 인권 활동가들인 해리스 아자르와 파티아 마울리디얀티(인도네시아) 그리고 미얀마 인권 운동가들에 대한 연대를 다시 한번 표명하며 이들에 대한 인권 침해 행위에 주목해 주길 호소한다

 

 2023 12 7

광주인권상 수상자 네트워크

 

(사나나 구스마오(Kay Rala Xanana Gusmao), 바실 페르난도(W.P.J. Basil Fernando), 전국유가족협의회(KoreaAssociation of Bereaved Families for Democracy), 단데니야 자얀티(Dandeniya Gamage Jayanthi), 와르다 하피즈(Wardah Hafiz), 말라라이 조야(MalalaiJoya), 이롬 샤밀라 차누(Irom Sharmila Chanu), 레닌 라구와니쉬(Lenin Raghuvanshi), 무니르 말리크(Muneer Malik), 민꼬나잉(Min Ko Naing), 수실 파퀴렐(SushilPyakurel), 비나약 (Binayak Sen), 문정현, H.I.J.O.S, 아딜루 라만 (Adilur RahmanKhan), 하바란의 어머니(Mothers of Khavaran), 라티파 아눔 실레가르(LatifahAnum Siregar), 버시 2.0(Bersih2.0), 누엔 (Nguyen Dan Que), 자투팟 분파타라락사(Jatupat Boonpattaraksa), 난다나 마나퉁가(Nandana Manatunga), 조안나 까리뇨(Joanna Carino), 벳조 운퉁(BedjoUntung), 아논 남파(Arnon Nampa), 신시아 마웅(Cynthia Maung), 평화를 위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희생자 가족 포럼(Parents Circle Families Forum - Israeli PalestinianBereaved Families for Peace), 템포 주간지(TempoWeekly Magazine), 솜바스 솜폰(Sombath Somphone), 세레지 밤바라(Serge Bambara), 디알리타 합창단(DialitaChoir), 워치독다큐멘터리메이커(Watchdocdocumentary Maker)), 신시아 마웅(Cynthia Maung), 초우항텅(Chow Hang-Tung), 이란교사노동조합위원회(TheCoordination Council of Iranian Teacher Trade Association)




 

 

World Leaders Must Intervene to Stop HumanitarianCrisis in Gaza and Uphold International Law

 

 

We the laureates of the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are deeplyconcerned by the dire humanitarian crisis in Gaza, the continued Israelioccupation  in the West Bank. Gaza hasbeen bombed more than 6,000 times and at least 17,000 lives, including innocentchildren and babies, have been killed as a result of Israeli retaliation toHamas’ attack on October 7.

Theright to life is the most fundamental value. Without it, there is no democracyworthy of its name. This right is enshrin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Human Rights which celebrates its 75th anniversary this December. We themembers of NLG join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Red Cross, and WorldHealth Organization to call for international law to be respected.Indiscriminate bombing on civilian infrastructure, cutting off suppliesincluding for hospitals have resulted in an unprecedented humanitarian crisisin the area – and importantly, risks destabilizing the Middle East region andtriggering wider conflicts between major powers which will have unparalleledpolitical instability and economic consequences.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is clear on protecting civilians, journalists, aid and health workers inconflict regions – no state should be exempted from this rule.

We the members of NLG call upon world leaders to immediately halt andact quickly to intervene on humanitarian grounds and prevent the crisis fromescalating to a wider conflict with terrible destabilizing consequences.

 

Lastly,  we are concerned aboutthe ongoing human rights violations, impunity and judicial harassments in theAsia Pacific region. We repeat our expression of solidarity and call attentionto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against our fellow laureates and humanrights defenders: Adilur Rahman Khan (Bangladesh), Council of Iranian TeachersTrade Association (CCITTA), Arnon Nampa (Thailand), Chow Hang Tung (Hong Kong),and human rights defenders Harris Azhar together with Fatia Maulidiyanti(Indonesia) as well as our fellow human rights defenders in Myanmar.

 

 

7 December 2023

Network of Laureates of Gwangju Prize forHuman Rights (NLG)

KayRala Xanana Gusmao, W.P.J. Basil Fernando, Korea Association of BereavedFamilies for Democracy, Dandeniya Gamage Jayanthi, Wardah Hafiz, Malalai Joya, IromSharmila Chanu, Lenin Raghuvanshi, Muneer Malik, Min Ko Naing, Sushil Pyakurel,Binayak Sen, 문정현,H.I.J.O.S, Adilur Rahman Khan, Mothers of Khavaran, Latifah Anum Siregar,Bersih, Nguyen Dan Que, Jatupat Boonpattaraksa, Nandana Manatunga, JoannaCarino, Bedjo Untung, Arnon Nampa, Cynthia Maung, Parents Circle Families Forum- Israeli Palestinian Bereaved Families for Peace, Tempo Weekly Magazine, SombathSomphone, Serge Bambara, Dialita Choir, Watchdoc documentary Maker, ChowHang-Tung, The Coordination Council of Iranian Teacher Trade Association


 

첨부파일


1268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보도자료 2023-99] 5·18기념재단, 2023 5·18김장나눔 행사 개최(11.24)
다음글 [보도자료 2023-101] [5ㆍ18사적지 어반스케치] 전시 개최 (12.11.~12.20.)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