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2023-75] 5·18기획전시, [소리 없는 목소리] 개최 (10.5. ~ 10.26.) | |||||||||
| 글쓴이 : 5OO 작성일 : 2023-10-04 조회 : 832 | |||||||||
5·18기획전시 [소리 없는 목소리] 개최
- 오월어머니와 시민들이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각 단락을 소리 내어 읽는 전시 - 전시기간 : 2023.10.5.(목) ~ 10.26.(목) 09:30 ~ 17:30 - 장소 : 5·18기념문화센터 B1 전시실 (광주 서구 내방로 152) - 참여작가와의 대화 & 오프닝 행사 : 10.05.(목) 16:00 ~ 18:00 - 주최 : 5·18기념재단 - 기획 : 유재현, 정현주 - 참여작가 : 김홍빈, 심혜정, 정기현 - 협력 : 오월어머니집, 갤러리포도나무, 독일 Art5예술협회, 황금산아트플랫폼, 시민자유대학
5·18기념재단(이사장 원순석)은 5·18기획전시 <소리 없는 목소리>를 개최한다. 전시는 5·18기념문화센터 B1 전시실 (광주 서구 내방로 152)에서 오는 10월 5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문학적 성찰에 주목하고 오월어머니와 시민들이 책의 각 단락을 소리 내어 읽는 전시다.
전시는 영상 및 설치, 시민 참여, 부대행사의 세 파트로 이루어진다. (1) 영상작업은 오월어머니들의 모습, 그리고 2023년 현재 광주의 모습을 이미지와 낭독, 텍스트 등 다양한 영상 설치로 보여준다. (2) 관객인 시민들 또한 전시장에 마련된 녹음기를 이용해 책의 제1장을 낭독하고 녹음할 수 있다. (3) 부대행사에서는 작가와의 대화가 마련되며 5·18의 기억을 훼손하려는 시도에 대항하면서 잊지 않으려는 모든 실행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함께 토론한다.
전시는 애도의 ‘공감’과 ‘돌봄’ 측면에서 관람객이 5·18 기억의 역사와 윤리적 성찰에 자연스럽게 몰입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기억의 세대 간 전달과 애도의 윤리적 지형의 형상화를 시도한다.
한편 이번 전시는 5ㆍ18기념재단이 문화예술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의 정신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자 추진하고 있는 ‘기획전시 지원 공모사업’에서 선정된 전시다.
※ 붙임 1. 전시 포스터 2. 작품 설명 3. 기획자 및 참여작가 소개
[붙임 1 전시 포스터]
[붙임 2 작품 설명]
1. 꽃 핀 쪽으로 TO WHERE FLOWERS BLOOM 상영시간: 37분 14초, HD, 2023. 출연: 박순금, 윤삼례, 최은자, 김순심, 이정덕, 장명희 목소리 출연: 강애심, 권지숙, 김규도 촬영: 김구영, 편집: 심혜정, 음악: 전송이
<꽃 핀 쪽으로>에서는 총6명의 오월어머니와 현재를 살아가는 다중 화자들이 『소년이 온다』 제6장을 낭독한다. 아이를 자기 손으로 묻은 동호 어머니의 독백을 따라 누군가의 목소리는 앞서 나가기도 하고, 뒤따라가기도 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에는 겹쳐지기도 한다. 5·18의 이야기는 목소리에서 목소리로 이어진다. 마지막 순간에 소년은 꽃 핀 쪽으로 여러 목소리들을 인도한다.
2. 어린 새, 소년 2023 MY LITTLE BOY 2023 상영시간: 6분 35초, HD, 2023. 촬영: 김구영, 편집: 심혜정
3. 제1장 어린 새 THE BOY 1980 상영시간: 18분 49초, HD, 2023. 편집: 사공미영
<어린 새, 소년 2023>과 <제1장 어린 새>는 짝을 이루는 영상이다. <어린 새, 소년 2023>은 2023년의 현재로 소환된 동호의 시선을 소리 없이 따라가는 영상이다. <제1장 어린 새>는 『소년이 온다』 제1장 텍스트를 담고 있다. 두 영상에서 과거와 현재, 이미지와 텍스트가 서로 교차하며 영향을 미치고, 우리에게 1980년의 광주를 소환하도록 이끈다.
4. 설치
전시장 입구에서는 블루프린트의 설치 작업 <소년이 온다>가 관객을 맞이한다. 문을 열고 들어오면 왼쪽 벽면의 선반에 관객들이 『소년이 온다』의 제1장을 낭독하고 녹음할 수 있도록 책과 녹음기가 배치되어 있다. 작은 서가에는 터키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10여종의 『소년이 온다』 책들이 배치된다.
김홍빈, <소년이 온다>
[붙임 3 참여작가 및 기획자 소개] <참여작가> 김홍빈 1973년생. 김홍빈은 서울시립대학교와 경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조각과 서양화를 전공하였 다. 주로 설치, 비디오, 퍼포먼스, 의상 작업을 해오고 있다. 그는 근래에 장수를 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에 관한 예술적 해석에 관심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이란 테헤란에서 한국문화 예술 위원회의 노마드 프로젝트 ‘안전감시체계’에 참여하여 <이민가방>을 발표하였고, 스페이스 꿀에서 퍼포먼스 그룹공연 “짜장면 드실래요? 짬뽕드실래요?”에 참여하여 <숙주>를 발표 하였다. 주요 개인전시는 <꿩잡는게매다> 반쥴 샬레, 2014, <자양강장프로젝트> 인디아트홀공, 2015, <불로장생프로젝트> spacexx,2016 가 있다. 단체전시는 심혜정 예술작가, 영화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각예술활동으로는 2016년 개인전 「동백꽃이 피면』 아이공 작가전 (미디어극장 아이공, 서울, 한국) 을 비롯하여, 2021년 「부분현장-대만 한국 온라인 프로젝트」 (오프라인 전시/타이난, 대만), 2019년 「판아시아 ‘알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 일민미술관, 서울, 한국), 2018년 「HATCH ART PROJECT」 (ASIA SQUARE, 싱가폴), 「히든 워커스」 (코리아나미술관, 서울, 한국) 등 다양한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영상 작업은 극영화를 비롯해서 VR, 실험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의 작업을 하고 있다. 장편 극영화 <욕창>(2019)은 2019년 전주 국제영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런던한국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서울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전북독립영화제, 2020년에는 모스크바 국제영화제에 초청되었고, 로스엔젤레스아시안퍼시픽 국제영화제에서 국제장편영화경쟁 부문에서 사회이슈코멘터리상, 브졸국제아시아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 이날코심사위원상을 받았다. 2022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너를 줍다>로 ‘CGV상’ 및 ‘왓챠가 주목한 장편상’ 2개 부분을 수상했다. 정기현 전남 강진에서 태어났다.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예술대학교(UdK)에서 조형미술 마이스터과정을 마쳤다. 독일영화학교베를린(DffB)를 수료했다. 현재 경기도 파주를 중심으로 “황금산아트플랫폼” 작가연대를 조직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함께 생태환경 등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예술기획과 작업을 하고 있다. 주요 기획전시: <트렌스미션>(아르코예술극장/ 서울,2010), <아트닭장 프로젝트>(경기도 일대,2013-2014), <황금산프로젝트>(안산,2015), <알 수 없는 그 무엇>(옥과,2015), <선감이야기길 프로젝트>(안산,2016), 안산공공미술프로젝트(안산,2021)등이 있다. 주요 참여전시: <기획자> 유재현 경북 경주에서 태어났다. 서울, 베를린, 시드니에서 미술을 전공했으며 2001년부터 독일에 머물고 있다. 현재 바이에른 바이라비즈에서 거주하며 뮌헨, 베를린, 서울을 중심으로 전시 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예술로 보는 민주주의체제 속에서 정치적 효과와 냉전의 결과물이다. 2009년 베를린 nGbK에서 「나눔.분단.통일」(남북한과 동서독 사이의 이주)전과 2015년에는 「금지된 그림- 동아시아 민주주의의 통제 및 검열」전을 기획했다. 2021년 뮌헨의 여러 전시장과 공공의 장소에서 「Art 5 - Art and Democracy」(예술과 민주주의) 전시를 기획했고, 2022년 11월에 독일과 일본의 예술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온라인 패널토론회를 기획 진행했다. 독일 정현주 전남대학교에서 불교 유식사상과 인지생물학과의 비교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또 한 홍익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이며 기획자, 번역자이다. 자연철학적 관점에서 일상의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예술과 문학비평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공동기획에 「여섯 개의 눈, 위안부할머니의 일상-안세홍·야지마 츠카사 사진전」(2023), 「목소리 꽃을 피우다, 차학경의 유작 『딕테』를 읽다」 (2021) 등이 있으며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쓴 다수의 논문이 있다. 번역서로 『자기생성과 인지』(갈무리, 2023 출간 예정)가 있다.
|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보도자료 2023-74] 5·18민주화운동 안내 해설사, ‘오월지기’ 명절맞아, 사적지 표... |
|---|---|
| 다음글 | [보도자료 2023-76] 새로운 오월길 광주천 코스 하반기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