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2023-45] 2023 광주민주포럼 2일차 (2023. 5. 17.) 안내 | |||||||||
| 글쓴이 : 5OO 작성일 : 2023-05-16 조회 : 557 | |||||||||
2023 광주민주포럼 2일차 (2023. 5. 17.) 안내 기조세션 Ⅱ, 소주제 3 세션, 특별세션, 폐막식
5월 17일 세계인권옹호자선언과 아시아인권헌장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조직한 ▲ 기조세션 Ⅱ(오전 9시)는 아시아인권헌장 개정 시 참여했던 안진 교수(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사회로 유엔인권최고대표인 볼커 튀르크(Volker Turk)가 영상으로 기조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이어 유엔인권서울사무소 소장 제임스 히난(Jemes Heenan)과 이소아 변호사(공익변호사와 함께하는 동행), 그리고 올해 광주인권상 수상자 단체인 이란교사노동조합위원회의 쉬바 아멜리라드(Shiva Amelirad)의 패널 발표를 통해 국제 인권옹호자와 유엔의 파트너쉽을 도모하고자 한다. 오전 11시부터는 2023 광주민주포럼의 세번째 소수제인 ▲ 인권옹호자를 향한 도전과 과제라는 주제 하에 유엔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인 메리 로울러(Mary Lawlor)의 영상 발제가 있을 예정이다. 더불어 오랫동안 한국에서 인권 옹호자 활동을 한 류은숙 인권연구소 창의 대표의 진행으로 이주민, 난민, 기후/환경, 그리고 장애인 인권옹호자 등 다양한 분야의 인권활동가(인권옹호자)들을 초청해 그들의 활동을 공유하고 그들에게 닥친 도전과 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1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수상자들과 함께하는 ▲ 특별세션: 국제언론상을 통한 민주화경험의 국제화와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 세션(오후 2시)이 진행된다. ‘기로에 선 세계상’ 수상자인 미하일 아르신스키(Mikhail Arshynski)와 ‘특집상’ 수상자인 브루노 페데리코(Bruno Federico)씨가 참석하여 민주·인권을 위한 언론과 미디어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김성해 대구대학교 교수는 글로벌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을 위해 국제뉴스의 중요성에 대해 발제를 이어가고, 양혜승 전남대학교 교수와 채종윤 한국영상대학교 교수의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2023 광주민주포럼은 현장 등록이 가능하며, 온라인 참여가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2023 광주민주포럼 웹사이트(2023gdf.518.org)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 문의: 5·18기념재단 5·18글로컬센터 홍유정 (062-360-0533) ※ 붙임 1. 5월 17일 연사 소개 |
|||||||||
| 첨부파일 | |||||||||
|---|---|---|---|---|---|---|---|---|---|
| 이전글 | [보도자료 2023-44] 5·18기념재단, 이창성 사진전 <나는 시민군이다> 개최 |
|---|---|
| 다음글 | [보도자료 2023-46] 제주의 사월, 오월걸상과 만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