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 알림·홍보 > 보도자료
1208번 게시글
[보도자료 2023-44] 5·18기념재단, 이창성 사진전 <나는 시민군이다> 개최
글쓴이 : 5OO    작성일 : 2023-05-15     조회 : 706
  • 보도자료 2023-44호
  • 보 도 자 료
  • 2023년 5월 15일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
    전화 062-360-0518
    팩스 062-360-0519
  •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152 Naebang-ro Seo-gu Gwangju,
    61965, Republic of Korea
    Telephone +82-62-360-0518
    Fax. +82-62-360-0519
담당부서5·18기념재단 기록진실부책임자부장 차종수 (062-360-0561)
담당자담당 김하정 (062-360-0562)
  5·18기념재단이창성 사진전 <나는 시민군이다개최

2023. 5. 17. () ~ 29. () 11:00~18:00

갤러리 인덱스(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5)

 

○ 5·18기념재단과 눈빛출판사는 5·18 43주년 기념 특별기획전으로 이창성 사진전 <나는 시민군이다>를 공동 개최한다전시회는 갤러리 인덱스(서울시 인사동 소재)에서 오는 5월 17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된다이번 사진전에서는 1980년 5월 21~27일 사이 이창성 기자(당시 중앙일간지 사진부)가 광주 시내에서 촬영한 시민군 사진 40여 점(컬러 10, 흑백 30)을 전시하여 당시의 현장감을 강조한다.

 

○ 시민군은 5·18 당시 무자비하고 폭력적인 계엄군의 과잉진압에 맞서 광주시민들이 자체 결성한 조직이었다일부 총기와 군장비로 무장을 했으나 이들의 연령대 및 복장구호 등을 보면 시민군은 잘 훈련된 군사조직이 아닌 무장한 계엄군에 맞서 시민을 보호하려 한 분노와 항의의 시민 조직이었다는 사실이 사진을 통해 드러난다.

 

○ 지금까지 외국인 사진가의 활동상은 영화 등을 통해 널리 알려져 왔지만 정작 국내 사진가들의 취재와 활동에 대해서는 평가절하 되어왔다이창성은 보도사진가로서 5·18을 취재하였지만 이에 머물지 않고 시민군 지휘부에 호소해 그들의 활동상을 적극적으로 다큐멘트한 다큐멘터리 사진가로서의 위상을 지니고 있다특히 전시에 준하는 취재현장에서 작가가 보여준 기록에 대한 집념과 화면 프레임의 안정감 그리고 대상에 접근해 부각하는 역량은 한국 사진가가 역사의 현장에서 의무와 책임을 다했음을 말해준다이번 전시는 이창성 기자의 5·18 사진의 현장성과 기록성에 주목한다현장이 기록된 사진은 진실을 바로 보게 하여 5·18을 지역적 한계를 뛰어넘어 전 국민의 가슴속에 자리 잡게 할 것이다.

 

○ 한편 5월 17(개막일에는 방송반 출신 차명숙 씨와 금남로 광수 1으로 지목되었던 차복환 씨가 참석해 그날을 회고할 예정이다.

 


붙임 1전시 개요

       2작가 소개

      3. 전시 포스터

      4. 전시 대표 이미지

 

 

[붙임 1] 전시 개요

전 시 명 5·18기념재단 43주년 특별기획_이창성 사진전 <나는 시민군이다>

전시작가 이창성

전시장소 갤러리인덱스(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5, 인덕빌딩 3)

전시일정 : 2023.5.17.()~5.29.() / 관람시간 : 11am~6pm (화요일 휴관)

전시작품 사진작품 40여 점

주최주관 5·18기념재단눈빛출판사

전시문의 갤러리인덱스 02)722-6635

 

 

[붙임 2] 작가 소개

이창성(李昌成, 1943-)

1966년 신아일보 사진부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한 후중앙일보 편집국 부국장으로 정년퇴임할 때까지 30여 년간 사진기자와 데스크로 활동했다. 1975년 한국기자상(사진보도부문)을 수상하였고중앙일보 포토뱅크 담당국장상명대 사진학과와 뉴미디어교육센터 강사를 역임하였다. 1995년 5·18 당시의 민간인 저격 사진을 지면에 공개하여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2008년 사진집 28년 만의 약속(눈빛출판사)을 출판하여 기록하여 세상에 진실을 알리겠다는 취재 당시 시민군 지휘부와 한 약속을 지켰다.

 

 

[붙임 3] 전시 포스터


 

 

[붙임 4] 전시 대표 이미지

 

시민군 1980. 5. 22.

 

 

금남로에서 교통 통제하는 시민군 1980. 5. 22.

 

 

도청안의 공개된 총기류학생 시민군이 총기손질

 

 

방석모와 총기로 무장한 시민군 1980. 5. 22.

 

 

첨부파일


1208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보도자료 2023-43]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5·18의 가치, 그림책에 담다
다음글 [보도자료 2023-45] 2023 광주민주포럼 2일차 (2023. 5. 17.) 안내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