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 알림·홍보 > 보도자료
1191번 게시글
[보도자료 2023-27] 5ㆍ18기념재단, 이준석 작가 오월 시ㆍ판화전 [검은 방] 개최(5.2)
글쓴이 : 5OO    작성일 : 2023-04-27     조회 : 501
  • 보도자료 2023- 27호
  • 보 도 자 료
  • 2023년 4월 27일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
    전화 062-360-0518
    팩스 062-360-0519
  •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152 Naebang-ro Seo-gu Gwangju,
    61965, Republic of Korea
    Telephone +82-62-360-0518
    Fax. +82-62-360-0519
담당부서 5·18기념재단 오월길문화사업단 책임자 부장 박채웅 (062-360-0551)
담당자 팀장 김희진 (062-360-0552)

 

 

5ㆍ18기념재단, 이준석 작가 오월 시ㆍ판화전 [검은 방] 개최

 

 

 

전 시 명 : 이준석 작가 오월 시ㆍ판화전 [검은 방]

전시기간 : 2023. 5. 2.(화) ~ 6. 30.(금) 

전시장소 : 5·18기념문화센터 B1 전시실

참여작가 : 이준석

전시작품 : 오월시와 판화 24점, 판화원판(목판)

주    최 : 5·18기념재단

 

 

 

 80년 당시 교생 실습 중, 5ㆍ18의 현장을 목도하고 대학 졸업과 동시에 미술 운동에 뛰어 들어 광주미술인공동체(이하 광미공)를 결성하고 광주 지역 대부분의 현수막과 걸개그림을 광미공과 함께 제작했던 이준석 작가의 오월 시ㆍ판화전이 5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5ㆍ18기념문화센터 B1 전시실에서 개최된다.

 

 5ㆍ18기념재단(이사장 원순석)이 마련한 이번 전시 ‘이준석 작가 오월 시ㆍ판화전 [검은 방]’은 당대의 일간지에 연재되었던 오월시 판화와 판화원판(목판)이 전시된다. 

 

 전시는 오월시 동인인 나종영, 나해철, 이영진, 박몽구 시인을 비롯해 김준태, 양성우, 오봉옥, 이승철, 이동순 시인 등과 최근작으로는 박노식 시인 등의 시를 시화(詩畵)로 완성했다. 대부분의 작품은 당대의 시화 연재작 원화를 전시할 예정이기에 더 뜻깊은 전시라 할 수 있겠다. 망실된 목판은 새로이 복각을 했으며, 복각은 당시의 지면을 가지고 있어서 가능했다.

 

 이준석 작가는 작가노트에서 “시(詩)와 판화(版畫)는 1980~1990년대 대한민국 문화예술계의 지형을 바꿀 만큼 강력한 문화예술 매체였다.”면서 “40여 년이 지난 현재에 이 시와 그림을 다시 전시하는 것은 그 시절 목숨만큼 소중하게 간직하고 지켜낸 가치들이 이 시대에 아직 유효한 것인지를 점검해 보고 싶었다.”고 전시 소회를 밝혔다. 

 

 이번 전시는 5ㆍ18기념재단이 문화예술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의 정신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자 추진하고 있는 ‘기획전시 지원 공모사업’에서 선정된 3개의 전시 중 하나이다.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9월에 갤러리 포도나무 [소리 없는 목소리-오월어머니 <소년이 온다>를 읽다]와 12월에 어반 스케쳐스 [다시 그리는 광주, 어반 스케치] 전시를 차례로 개최할 예정이다.

 

 

■ 작가 주요약력


이 준 석

 

주요 전시

2017 개인전, 로스터갤러리 초대전(로스터갤러리, 광주)

2016 개인전, 중견작가 초대전(광주시립미술관)

2015 개인전, 붉은 꽃 붉은 마음(원갤러리, 광주)

2014 단체전, 광주비엔날레 20주년 특별전(광주시립미술관)

2013 초대전, ‘1980년 광주민중미술’(광주시립미술관)

2012 초대전 ‘개화’(원갤러리, 광주)

2006 초대전 ‘투영’(대만 국립현대미술관)

2005 초대전 ‘항쟁미술제-길에서 다시 만나다’(서울, 부산, 광주, 청주, 태백)

2004 단체전, ‘순수와 참여의 미학’(광주시립미술관)

      단체전, ‘걸어온 10년 가야할 100년’(광주시립미술관)

2003 단체전, 오월전 ‘나는 너다’(광주인재미술관)

      단체전, ‘기억 속으로 날아오르다’(부산민주공원)

2002 단체전, 오월목판화전(전남대학교 박물관)

2001 초대전, ‘행방불명’전(광주시립미술관)

2000 초대전, ‘뱀에 대한 해석’(광주시립미술관)

1999 개인전, 원서갤러리(서울) / 그림시갤러리(수원) /남봉미술관(광주)

1995 개인전, 덕원미술관(서울) / 인재미술관(광주)

1992 개인전, 인재미술관(광주)

 

■ 대표 작품 이미지

 





 ※ 붙임 1. 전시 포스터

          2. 주요 작품

 

첨부파일


1191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보도자료 2023-26] 5‧18국제연구원, 시민들의 다양한 기대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4.2...
다음글 [보도자료 2023-28] 2023 광주인권상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5.2)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