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국민인식지수
- 2019년 ‘5·18 국민인식지수’는 69.3점으로 2018년(69.8점)에 비해 0.5점 감소함
- 5·18 국민인식지수를 구성하는 항목 중 ‘5·18 이미지’가 79.3점으로 가장 높고, ‘5·18 기여도’(72.2점), ‘5·18 인지도’(61.4점) 순으로 조사됨
- 국민인식지수를 구성하는 항목인 ‘5·18 인지도’는 전년 대비 2.1점 상승하였고, ‘5·18 이미지’(2.4점), ‘5·18 기여도’(2.3점)는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그림 1 ] 5·18 국민인식지수
[ n=805, 단위: 점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 5·18 민주화운동의 국민인식지수는 지역별로 살펴보면, 광주/전라 지역이 78.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대구/경북(59.8점)에서는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됨
- 국민인식지수는 시민들이 거주하는 지역,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라서 인식이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남
- 응답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인식수준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20대는 67.7점으로 30대~50대의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표 1 ] 5·18 국민인식지수
[ n=805, 단위: 점 ]
|
| Base
| 5·18 국민인식지수
| 5·18 인지도
| 5·18 기여도
| 5·18 이미지
|
| 전 체 |
(805) |
69.3 |
61.4 |
72.2 |
79.3 |
| 성별 |
남자 |
(426) |
69.7 |
63.4 |
71.6 |
78.5 |
| 여자 |
(379) |
68.8 |
59.1 |
72.9 |
80.3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5·18 인지도
- 2019년의 ‘5·18 인지도’는 61.4점으로 2018년(59.3점)에 비해 2.1점 상승함
- 5·18의 인지도는 ‘민주화운동’, ‘민주묘지’, ‘국가기념일 지정’, ‘특별법 제정’ 등 총 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
- 항목별로는 ‘5·18 민주화운동’의 인지도가 72.2점으로 가장 높고, ‘5·18 민주묘지’(63.2점), ’5·18 민주화운동 국가기념일‘(60.3점), ’5·18 특별법‘(49.8점)순으로 조사됨
- 전년도 조사 결과 대비 ’5·18 민주묘지 인지도‘는 63.2점으로 전년(63.3점) 대비 0.1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 ’5·18 특별법 인지도‘(5.4점), ’5·18 민주화운동 인지도‘(2.4점), ’5·18 민주화운동 국가기념일 인지도‘(0.7점)는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그림 2 ] 5·18 인지도
[ n=805, 단위: 점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 5·18 민주화운동의 인지도는 전년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민주묘지’의 인지도는 4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표 1 ] 5·18 국민인식지수
[ n=805, 단위: 점 ]
|
| Base
| 5·18 인지도
| 5·18 민주화운동
| 5·18 민주묘지
| 5·18 국가기념일
| 5·18 특별법
|
| 전 체 |
(805) |
61.4 |
72.2 |
63.2 |
60.3 |
49.8 |
| 성별 |
남자 |
(426) |
63.4 |
73.6 |
64.7 |
73.6 |
53.6 |
| 여자 |
(379) |
59.7 |
70.6 |
61.5 |
70.6 |
45.6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5·18 기여도
- 2019년 5·18 기여도는 72.2점으로 2018년(74.5점)에 비해 2.3점 감소함
- 5·18 기여도는 ‘한국의 민주화’, ‘한국의 인권신장’,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 등 3가지의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
- 항목별로 살펴보면 ‘한국의 민주화’가 80.0점으로 가장 높고, ‘한국의 인권신장’ (74.0점),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62.6점) 순으로 조사됨
- 전년도 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한국의 인권신장’(3.1점),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3.0점), ‘한국의 민주화’(0.7점) 기여도의 구성요소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그림 3 ] 5·18 기여도
[ n=805, 단위: 점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 5·18 민주화운동의 기여도는 전년대비 전반적으로 하락한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지역별로 인식이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남. 강원/제주와 대전/충청 지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전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에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한 경향을 보임
[ 표 3 ] 5·18 기여도
[ n=805, 단위: 점 ]
|
| Base
| 5·18 기여도
| 한국의 민주화
| 한국의 인권신장
|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
|
| 전 체 |
(805) |
72.2 |
80.0 |
74.0 |
62.6 |
| 성별 |
남자 |
(426) |
71.6 |
79.0 |
74.2 |
61.4 |
| 여자 |
(379) |
72.9 |
81.2 |
73.7 |
63.8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5·18 이미지
- 2019년 5·18 이미지는 79.3점으로 2018년(81.7점)에 비해 2.4점 감소함
- 이미지는 ‘국가의 부당한 폭력에 대한 정의로운 저항’, ‘대한민국의 대표적 민주주의 역사’ 총 2가지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
- 항목별로 살펴보면, ‘국가의 부당한 폭력에 대한 정의로운 저항’이 80.2점,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주주의 역사’가 78.4점으로 조사됨
- 전년도 조사결과와 비교해보면,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주주의 역사’(3.3점), ‘국가의 부당한 폭력에 대한 정의로운 저항’(2.1점) 이미지의 구성요소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5·18 민주화운동 이미지 지수는 2018년 조사에서는 3개 문항, 2019년 조사에서는 2개 문항으로 산출함
[ 그림 4 ] 5·18 이미지
[ n=805, 단위: 점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 5·18 민주화운동의 이미지는 전년대비 전반적으로 하락한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특히 보수 성향(54.3점)과 대구/경북(61.7점), 그리고 20대(78.0점) 계층에 속하는 시민들이 특히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증가한 경향을 보임
[ 표 4 ] 5·18 이미지
[ n=805, 단위: 점 ]
|
| Base
| 5·18 이미지
| 국가의 부당한 폭력에 대한 정의로운 저항 이미지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주주의 역사 이미지
|
| 전 체 |
(805) |
79.3 |
80.2 |
78.4 |
| 성별 |
남자 |
(426) |
78.5 |
79.3 |
77.7 |
| 여자 |
(379) |
80.3 |
81.3 |
79.3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5·18 민주화운동 5가지 원칙 구현
- 5·18 민주화운동 관련 ‘5가지 원칙’의 구현에 대해 ‘5·18 기념사업 추진’이 50.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5·18 피해자 배상 구현’(41.4점), ‘5·18 피해자 명예회복 구현’(39.0점), ‘5·18 진상규명 구현’(32.0점), ‘학살책임자 처벌 구현’(24.8점) 순으로 조사됨
[ 그림 5 ] 5·18 민주화운동 5가지 원칙 구현
[ n=805, 단위: 점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원칙 중 ‘학살책임자 처벌 구현’을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24.7점)’, 연령대는 ‘30대(19.0점)’, 거주 지역은 ‘대전/충청(21.5점)’, 직업은 ‘학생(20.1점)’,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21.1점)’, 정치성향은 ‘진보(15.8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남
[ 표 5 ] 5·18 민주화운동 5가지 원칙 구현
[ n=805, 단위: 점 ]
|
| Base
| 5·18 기념사업 추진 구현
| 5·18 피해자 배상 구현
| 5·18 피해자 명예회복 구현
| 5·18 진상규명 구현
| 학살책임자 처벌 구현
|
| 전 체 |
(805) |
50.1 |
41.4 |
39.0 |
32.0 |
24.8 |
| 성별 |
남자 |
(426) |
50.3 |
44.1 |
40.7 |
31.0 |
24.7 |
| 여자 |
(379) |
49.8 |
38.4 |
37.2 |
33.1 |
25.0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5·18 민주화운동 5가지 원칙 해결이 미흡한 이유
- 5가지 원칙별 해결이 미흡한 이유에 대해 ’피해자 명예회복’(28.0%), ’피해자 배상’(27.4%), ‘5·18 기념사업 추진’(25.7%)은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른 균열’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남
- 한편, ‘5·18 진상규명’은 ’가해자 등 주요 관련자들의 진술 거부‘(24.6%)가 ’학살책임자 처벌‘은 ’주요 책임자의 소극적 처벌’(30.3%)이라고 답변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그림 6 ] 5·18 민주화운동 5가지 원칙 해결이 미흡한 이유
[ n=805, 단위: 점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원칙 중 ‘학살책임자 처벌 구현’을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24.7점)’, 연령대는 ‘30대(19.0점)’, 거주 지역은 ‘대전/충청(21.5점)’, 직업은 ‘학생(20.1점)’,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21.1점)’, 정치성향은 ‘진보(15.8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남
[ 표 6 ] 5·18 민주화운동 5가지 원칙 해결이 미흡한 이유
[ n=805, 단위: % ]
|
| Base
| 주요 책임자의 소극적 처벌
| 과거 정부 인사의 조직적인 책임 회피
| 정부, 국방부 등 관련 자료 비공개
| 가해자 등 주요 관련자들의 진술 거부
|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른 사회적 균열
| 국가의 공식적인 진상조사 보고서 부재
| 기타
|
| 전 체 |
(805) |
21.2 |
19.7 |
17.1 |
16.0 |
15.4 |
6.5 |
4.1 |
| 진상규명 |
(315) |
15.6 |
13.9 |
18.6 |
24.6 |
17.5 |
5.4 |
4.3 |
| 책임자 처벌 |
(338) |
30.3 |
27.2 |
15.0 |
12.8 |
8.0 |
5.1 |
1.7 |
| 피해자 명예회복 |
(87) |
16.3 |
19.7 |
17.1 |
16.0 |
15.4 |
6.5 |
4.1 |
| 피해자 배상 |
(38) |
7.8 |
14.2 |
27.5 |
7.8 |
27.4 |
10.3 |
5.0 |
| 기념사업 추진 |
(26) |
7.1 |
3.8 |
18.0 |
0.0 |
25.7 |
15.2 |
30.2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5·18 역사왜곡처벌법 필요성
-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비방, 폄훼, 왜곡한 사람을 처벌하는 ‘5·18 역사왜곡처벌법’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필요하다’ 79.5%, ‘필요하지 않다’ 20.5%로 나타남
- 응답자 특성별로는 ‘필요하다’는 ‘광주/전라’(89.3%), ‘진보’(95.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필요하지 않다’는 ‘대구/경북’(39.0%), ‘보수’(50.4%)에서 높게 나타남
[ 그림 7 ] 5·18 역사왜곡처벌법 필요성
[ n=805, 단위: 점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원칙 중 ‘학살책임자 처벌 구현’을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24.7점)’, 연령대는 ‘30대(19.0점)’, 거주 지역은 ‘대전/충청(21.5점)’, 직업은 ‘학생(20.1점)’,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21.1점)’, 정치성향은 ‘진보(15.8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남
[ 표 7 ] 5·18 역사왜곡처벌법 필요성
[ n=805, 단위: % ]
|
| Base
| 필요하다
| 필요하지 않다
|
| 거주지역 |
서울 |
(166) |
81.9 |
18.1 |
| 인천/경기 |
(247) |
77.8 |
22.2 |
| 대전/충청 |
(79) |
87.5 |
12.5 |
| 광주/전라 |
(84) |
89.3 |
10.7 |
| 대구/경북 |
(77) |
61.0 |
39.0 |
| 부산/울산/경남 |
(119) |
79.1 |
20.9 |
| 강원/제주 |
(34) |
79.4 |
20.6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
5·18 특별법 및 진상규명조사위원회 관련 이슈 인지
- 2018년 3월 13일 제정된 5·18 특별법과 진상규명조사위원회 관련 이슈에 대한 인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특별법이 제정된 것과 조사위원회가 구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둘 다 모른다’는 28.0%, ‘특별법이 제정된 것은 알고 있다’(20.6%), ‘조사위원회가 구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10.9%) 순으로 나타남
[ 그림 8 ] 5·18 특별법 및 진상규명조사위원회 관련 이슈 인지
[ n=805, 단위: % ]
@ 응답자 Base : 5·18 민주화운동 인지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