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개요
- 조사대상 : 2013년 5·18기념재단에서 수행하는 사업참여자
- 조사방법 : 개별면접조사 및 전화면접조사, 팩스, 이메일조사
- 표본추출 : 사업별 무작위추출(random sampling)
- 유효표본 : 1,060명
- 조사결과 : 고객만족도 78.7점
- 주요조사내용
주요조사내용
| 5·18민주화운동 인식 평가 |
5·18민주화운동 인지도 및 관심도 |
| 5·18민주화운동 인식 |
| 5·18민주화운동 인식 개선도 |
| 5·18기념재단 사업 평가 |
사업별 세부 평가 |
| 5·18민주화운동 정신 발전?계승 적절성 |
| 재단 사업 지속성 |
| 사업 전반적 만족도 |
| 5·18기념재단 기관 평가 |
5·18기념재단 인지도 및 사업 인식 |
5·18 기념재단 사업평가
- 5·18기념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18개 사업에 대해서 항목별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이를 비슷한 속성의 사업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지원사업 81.3점, 행사사업 80.9점, 발간사업 80.6점, 기념사업 71.8점 순으로 평가되었음(종합 평균 78.7점)
- 세부사업별로 5·18아카데미가 95.4점으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오월교사 양성(92.0점), 오월길(91.0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반면 5·18청소년문화제(66.6점), 5·18웹사이트운영(67.0점)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
·18 기념재단 사업평가
| 사업명 |
총점 |
순위 |
| 5·18아카데미 |
95.4 |
1위 |
| 오월교사양성 |
92 |
2위 |
| 오월길(사적지안내) |
91 |
3위 |
| 5·18국내연대 |
84 |
4위 |
| 광주인권상축하음악회 |
83.6 |
5위 |
| 5·18계간지주먹밥 |
81.6 |
6위 |
| 전국고등학생토론대회 |
80.8 |
7위 |
| 5·18국제연대 |
80.3 |
8위 |
| 자원활동가운영 |
79.7 |
9위 |
| 5·18연구지원 |
79.4 |
10위 |
| 아시아저널 |
77.6 |
11위 |
| 5·18장학사업 |
77.5 |
12위 |
| 5·18청소년연극제 |
75.2 |
13위 |
| 5·18교육자료개발 |
74.3 |
14위 |
| 5·18기록물관리 |
69.9 |
15위 |
| 광주아시아포럼 |
69.6 |
16위 |
| 5·18웹사이트운영 |
67 |
17위 |
| 5·18청소년문화제 |
66.6 |
18위 |
사업별·항목별 만족도
- 항목별로 살펴보면, 모든 사업에서 향후에도 운영을 지속해야 한다는 운영지속성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특히 지원사업에서 높게 나타남
- 한편, 기념사업의 이해 용이성과 관리 지속성은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음
사업별·항목별 만족도
| 기념사업 |
기념사업종합 |
정보/ 프로그램 다양성 |
정보/ 프로그램이해 용이성 |
정보/ 서비스 관리지속성 |
5·18민주화 운동정신계승 및 발전적절성 |
정보/ 프로그램 운영지속성 |
정보/ 프로그램전반적 만족도 |
| 전체 |
71.8 |
68.4 |
60.9 |
65.7 |
73.1 |
93.1 |
69.6 |
| 5·18웹사이트운영 |
67 |
62.8 |
53.5 |
58.3 |
68.5 |
92.3 |
66.8 |
| 자원활동가운영 |
79.7 |
80.8 |
74.2 |
74.2 |
80 |
92.1 |
76.7 |
| 5·18교육자료개발 |
74.3 |
73.5 |
64 |
67 |
75 |
94 |
72.5 |
| 5·18기록물관리 |
69.9 |
61.3 |
57.5 |
68.8 |
72.1 |
94.6 |
65 |
사업별·항목별 만족도
| 발간사업 |
발간사업 종합 |
발간물 주제적절성 |
발간물 내용 및 구성적절성 |
발간물 이해 도움정도 |
5·18민주화 운동정신 계승 및 발전적절성 |
발간물 운영지속성 |
발간물 전반적 만족도 |
| 전체 |
80.6 |
79.8 |
78.4 |
79.8 |
79.7 |
88.6 |
77.3 |
| 5·18계간지주먹밥 |
81.6 |
81.8 |
80.1 |
81 |
80.6 |
89.4 |
76.9 |
| 아시아저널 |
77.6 |
74.2 |
73.4 |
76.2 |
77 |
86.5 |
78.3 |
사업별·항목별 만족도
| 행사사업 |
행사사업 종합 |
행사사전준비 충분성 |
행사진행원활 |
행사흥미와 관심 유발적절성 |
5·18민주화 운동정신 계승 및 발전적절성 |
행사운영 지속성 |
행사전반적 만족도 |
| 전체 |
80.9 |
77.4 |
78.5 |
79 |
80.6 |
88.2 |
82 |
| 광주아시아포럼 |
69.6 |
63.5 |
65.5 |
62.2 |
69.6 |
87.8 |
68.9 |
| 광주인권상축하음악회 |
83.6 |
78.9 |
82.8 |
81.9 |
81.9 |
91.9 |
84.3 |
| 5·18아카데미 |
95.4 |
95.2 |
93.1 |
95.7 |
93.1 |
97.9 |
97.3 |
| 오월교사양성 |
92 |
89.1 |
88.6 |
91.8 |
92.7 |
98.2 |
91.4 |
| 전국고등학생토론대회 |
80.8 |
76.1 |
77.7 |
78.3 |
77.7 |
91.3 |
83.7 |
| 5·18청소년문화제 |
66.6 |
59.7 |
63.6 |
66.9 |
68.8 |
68.8 |
71.4 |
| 5·18청소년연극제 |
75.2 |
73.9 |
72.7 |
71.9 |
74.7 |
83.7 |
74.4 |
| 오월길(사적지안내) |
91 |
89.6 |
89.2 |
87.7 |
91.5 |
97.2 |
90.6 |
사업별·항목별 만족도
| 지원사업 |
지원사업 종합 |
지원대상자 선정적절성 |
지원 충실성 |
지원사업 민주주의, 인권, 평화 기여도 |
5·18민주화 운동정신 계승 및 발전적절성 |
지원사업 운영지속성 |
지원사업 전반적 만족도 |
| 전체 |
81.3 |
75 |
69.1 |
83.3 |
81.4 |
97.1 |
81.8 |
| 5·18국내연대 |
84 |
75.9 |
77.6 |
86.7 |
85 |
98.3 |
80.8 |
| 5·18국제연대 |
80.3 |
73.3 |
51.7 |
88.3 |
80 |
96.7 |
91.7 |
| 5·18장학사업 |
77.5 |
77.5 |
70 |
70 |
75 |
97.5 |
75 |
| 5·18연구지원 |
79.4 |
73.2 |
69.6 |
80.4 |
80 |
95 |
78.3 |
5·18 민주화운동 인지도 및 관심도
- 사업참여자의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는 매우 높았음. 특히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지도는 95.9%로 나타났고, 평소 5·18민주화운동에 대해서 81.7%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최근 1년간 5월 이후에도 93.8%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정보를 접촉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78.1%는 직접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최근 1년간 5·18민주화운동 관련하여 정보를 접촉해 본 경험자는 TV, 신문, 라디오 등 대중매체(32.5%)나, 인터넷(21.7%)으로 정보를 접촉해 본 경우가 높게 나타났음
- 5·18민주화운동 홍보를 위한 매체로도 TV, 신문, 라디오 등 대중매체(39.3%)를 꼽은 경우가 많았는데, 영화·홍보영상 등의 영상물(21.4%)도 홍보를 위한 매체로 높게 선택되었음
5·18 민주화운동 인식
-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로 민주화 기여도와 민주주의 상징성 측면이 90점 이상의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 기여도 측면에서도 89.8점의 높은 평가를 받았음
- 반면, 평화통일 기여도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
- 사업참여자의 24.6%만이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이 이루어졌다고 응답하여, 이루어지지 않았다(28.2%)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 현재까지 책임자 처벌(43.1%)과 진상규명(32.4%) 해결이 미흡한 과제로 남았다고 응답하였음
5·18 기념재단 평가
- 사업참여자의 5·18기념재단에 대한 인지도는 73% 수준으로 높았지만, 비인지자 중 처음 들어봤다는 무관심층도 6.4%로 나타났음. 비인지자층은 주로 학생 계층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음
- 재단 사업에 대해서는 82.5%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기념 및 정신 계승을 위해 적절하다는 평가를 내렸음. 적절하지 않다는 평가는 1.2%에 불과하였음
- 앞으로 기념재단에서 확장해야 할 사업분야로 교육사업이 가장 높은 지지를 (49.8%)를 받았고, 이밖의 문화 사업(10.8%), 국내 연대사업(10.0%), 국제 연대사업(9.3%)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5·18 민주화운동 관련 최근 이슈
- 인터넷 공간에서 일어나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비방과 왜곡에 대해 86.5%는 심각하다는 반응을 보였고,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도 68.5%로 높게 나타남
- 폄훼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초·중·고 교육강화(75.8%)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음. 허위 유포자 사법처리(47.5%)나 TV, 인터넷 등의 미디어 광고(44.7%)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높게 나타남
- 국가보훈처에서 5?18 기념곡을 새롭게 지정하려는 시도에 대해 새로운 기념곡을 지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4.1%로 소수에 불과하였고, 오히려 기존에 불러오던 ‘님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기념곡으로 지정해야 한다(81.6%)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음